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계
가문
집안
계통
자손
핏줄
태생
d라이브러리
"
혈통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보통 쥐의 피부에서 성체줄기세포를 추출했다. 이를 시험관에서 배양한 다음 털이 없는
혈통
의 쥐에게 이식했다. 그 결과 털이 없는 쥐에서 보통 쥐와 비슷한 정도로 털이 났다고.로레알 연구소는 모낭에서 줄기세포가 모여 있는 부분을 발견하기도 했다. 여기서 모낭 줄기세포를 추출해 이식한 다음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태어난 도시는 마치 생모로부터 받은
혈통
처럼 뭔가 독특함을 삶에 걸어줍니다.” 이 말은 오늘날 울름 곳곳에서 인용되고 있다. 또 1949년 울름 시가 아인슈타인 70세 생일 기념으로 명예시민을 수여하겠다는 제의를 했을 때 그가 비공식적으로 거절했다는 일화도 ... ...
샤크 이젠 경창견이라 불러다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훌륭한 양치기 개를 만들기 위해 품종 개량시킨 개라고 지난 호에 말했지요? 순수한
혈통
의 샤크와 무지개 공주 사이에서 태어날 샤크의 새끼도 샤크만큼이나 훌륭한 개가 될 거라고 소장님은 기대한답니다.오늘도 소장님과 샤크, 무지개공주는 훈련소 잔디밭을 사이좋게 뛰어 다닙니다. 이제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최근 서울대 수의대와 공동으로 우리나라 산양, 수달, 반달곰, 삵 등 야생동물들의 순수
혈통
보전을 위해 계통분류학적 유전자연구를 수행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새로 조성되는 토종생태동물원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져야 한다. 다행히 우리국민 대다수도 야생동물 보전과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되는 사람, 반겨야 하는 사람을 기가 막히게 구별할 수 있다. 사회적 동물인 늑대의
혈통
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개는 본능적으로 위계질서를 인식하는 천부적인 능력이 발달해 있는 듯하다.개의 선조 늑대는 중국에 살았다?야생 늑대가 언제부터 가축화돼 개로 진화됐는지에 대해서는 과학자에 따라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교미로 인해 정자가 부족해져서 나중에 태어나는 새끼들의 75% 정도는 서로 다른 부계
혈통
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 무엇이든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한 법이다.쥐 - 실험동물의 대명사14세기 전유럽을 공포로 휩싸이게 만든 페스트의 주범. 야전 훈련에 나간 병사들을 괴롭히는 유행성출혈열의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때문에 DNA를 뽑아낼 수 있다면 미토콘드리아 DNA가 유리하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
혈통
에 따라 유전된다. 따라서 개구리소년의 유골에서 미토콘드리아 DNA를 뽑아낸다면 어머니나 형제의 미토콘드리아 DNA와 비교하면 된다. 물론 개구리소년의 유골이 11년이나 토양에 노출돼 있었으므로, 유전자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주민들의 유입 때마다 외래 개들이 주민들과 함께 들어왔을 터이며 먼저 유입된 개와
혈통
이 섞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끊임없는 교역과 이주를 통해 이방인들이 이 땅에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한민족이 배달민족으로 그 특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처럼 이 땅의 기후풍토에 잘 적응하게 된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발명은 대략 세가지이다.그 첫번째는 첨두 아치다. 위가 둥근 일반 아치와 달리 이슬람
혈통
의 끝이 뾰족한 첨두 아치는 옆으로 미는 추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벽을 가늘고 높은 기둥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한다.두번째는 추력에 저항하는 측벽인 버트레스에 활꼴 모양의 구멍을 내 무게도 줄이고 그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8배나 빨랐다고 한다. 시엘스테드 박사 연구팀 역시 Y염색체와 미토콘드리아 DNA의
혈통
을 통해 지난 역사동안 남성과 여성의 이주 속도를 각각 산출했다. 그 결과 미토콘드리아 DNA 치환속도가 Y염색체보다 훨씬 빨랐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만큼 이주가 빨라 새로운 염색체를 많이 받아들였다는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