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승
d라이브러리
"
황토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웃음의 프리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전두엽으로 전달된다. 전두엽은 개인이 살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만지고 있는 물체가
황토
색이다. 냄새가 야릇하다. 똥이다”라고 식별한다. 이것만으로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 웃긴지 슬픈지 판단을 내릴 수 없다. 머리 중앙의 편도체가 자신이 살아온 경험과 지식, 즉 ‘인지틀’을 바탕으로 최종 ... ...
추운 계절에는 온돌방이 최고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아래쪽이 따뜻하고 그에 비해 위쪽은 차가워서 건강에 좋답니다. 온돌의 주재료인 돌과
황토
역시 몸에 좋지요.이제는 시골에서조차 거의 보기 힘든 온돌방. 하지만 최근 이런 온돌의 과학성이 인정받아 온돌의 원리를 이용한 여러 가지 난방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니 반가운 일입니다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중국이 무리하게 개간하고 방목한 것도 큰 이유다. 한반도의 4배에 달하는 사막과
황토
고원이 매년 2330km2씩 늘어나고 있다. 한 해에 제주도보다 넓은 땅이 사막화되는 셈이다. 몽골은 국토의 90% 이상이 사막화위기에 놓여 있다.수분과 온도 다스린다“건조한 지역에서 잘 자랄 수 있는 식물을 사막이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는 요즘 천연염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직장에서는 천연염색 유니폼이, 가정에서는
황토
옷이 유행이다. 역대 영부인들도 전통기법의 천연염색으로 우아하고 세련된 연출을 즐겼다고 한다. 백화점 문화센터에 개설된 강좌에는 천연염색을 배우려는 일반인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왜들 ... ...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티벳, 몽골 등 사막이 분포하는 지역도 여러 곳인데다 사막을 구성하는 흙도 매우 가는
황토
부터 모래까지 종류가 다양해요. 그러다보니 황사현상이 매우 복잡해요. 그래서 연구할 게 더 많지요.이전에는 연구한 사람이 없었나요?그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황사에 관심을 가진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누런 구름이 몰려온다. 황사는 아시아 대륙 중심에 위치한 사막과
황토
지대의 모래와
황토
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바람을 타고 하늘로 떠올라 편서풍을 타고 멀리 날아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일제강점기전까지는 황사라는 말대신 흙비로 불렸으며, 세계적으로는 ‘아시아 먼지’로 불린다 ... ...
1. 21세기 그린변혁 꿈꾸는 개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수많은 구멍은 플랑크톤을 가두고 흡착시켜 적조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제오플럭은
황토
의 1/10만으로도 95% 이상의 적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생산자가 최종 책임재활용 과학은 관련기술의 핵심소재와 장치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효과적인 정책을 개발하는 일 또한 ... ...
과학 입고 싸운다 군복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대표적인 예가 영국이다. 하지만 1차대전을 계기로 사실상 모든 나라가 군복 색깔을
황토
색이나 갈색, 녹색과 같은 ‘자연색’으로 바꾸기 시작했다.단색이 아닌 위장무늬가 인쇄된 군복이 나오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았다. 동물이 자연과 비슷한 무늬와 색깔로 자기 몸을 지킨다는 것은 190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네이처’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과학자들이 바람에 의해 모래와 진흙이 2백m 이상 쌓인
황토
고원을 조사한 결과 황사현상이 2천2백만년 전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1천4백만년이나 앞선 시기다.역사적으로도 황사는 중국에서 관련 기록이 기원전 1150년에 최초로 나올 만큼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담집은 그 중간쯤 된다.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의 동북부지역은 나무가 많지 않은
황토
지역이다. 따라서 집 전체를 나무로만 짓기보다는, 집의 주요한 구조체는 나무로 하고 외벽은 벽돌로 쌓는 것이 더 유리했기 때문에 이같은 절충식의 구조가 발전했다. 또한 벽돌로 외벽을 두텁게 하면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