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별
d라이브러리
"
star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받았다.손가락 마디에 10만톤 넣는다? 펄서(pulsar)는 ‘맥동하는 별’(pulsating
star
)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외계인이 만들어낸 인공 신호로 착각할 정도로 우주전파가 규칙적으로 ‘맥동’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엄밀하게 펄서는 수축과 팽창을 하지 않기에 잘못된 명칭이다. 대신 펄서는 매우 ... ...
십자가로 변신하는 백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다른 별에 비해 대단히 빨리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날아다니는 별’(The Flying
Star
)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피아치가 61번별을 발견했던 당시 1년에 무려 5.22˝를 움직이고 있었다.1838년 독일의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베셀은 이 별의 고유운동이 크다는 사실에 착안해 이 별이 매우 가까이 있다고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사실을 밝혀 붙인 이름이다.밤하늘 별 파는 ‘21세기 김선달’미국의 민간기업 USC(Universal
Star
Council)는 1979년부터 별에 이름을 붙여 파는 사업을 해왔다. 이 업체는 고객이 원하는 이름이 수록된 별 목록이 미국 국회도서관에 공식적으로 보관된다고 광고하며, 요청한 사람의 이름을 작은 별에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변하는 적색 주계열의 별들이 있다이것을 고래자리 UV형 변광성 또는 플레어별(flare
star
)이라고 한다외부 은하의 일종으로 축대칭이 아니고 항성이나 성간물질이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은하 제 I 형과 제II형으로 분류된다불균질한감속제(減速劑)연료를 사용하는 원자로 불균질로라고도 한다핵료와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위치에 있는 별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떠돌아다니는 천체를 ‘방황하는 별’(wandering
star
)이라고 불렀고 17세기 망원경이 발명되면서부터는 태양 주위를 도는 크고 둥근 천체를 모두 행성으로 간주했다. 천문학계 ‘민심’ vs 행성정의위원회이번 IAU 표결의 핵심인 명왕성의 행성 지위에 대한 논란은 ... ...
STAR
TREK 2266년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도움을 받아 2266년으로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STAR
TREK 2266년 시간여행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나타나는 원동력이 됐다. 11번째 극장판 2008년 개봉 예정‘스타트렉:딥 스페이스 나인’(
Star
Trek: Deep Space Nine)은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이어진 세번째 스타트렉 시리즈다. 첫번째 외전이라 할 수 있으며, 우주선이 아니라 우주정거장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제작연대를 보면 짐작할 수 있겠지만 발달된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빛조차 한번 들어가면 다시 나올 수 없는 시공간의 경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STAR
TREK 2266년 시간여행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못할 것이다. 양자정보는 읽거나 복사할 수 없기 때문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STAR
TREK 2266년 시간여행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바너드는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자기 이름이 붙은 별, ‘바너드 별’(Barnard's
Star
)을 발견한 것이다. 여름철 땅꾼자리 아래쪽에 위치한 별로 매우 어두워 추정된 밝기는 11등급에 불과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 별은 1년에 10.3″나 움직이고 있었다. 이는 90년 동안 달 지름의 절반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