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구덩이"(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철창이 없는 싱가포르 동물원기사 l20160817
- 치타 우리(위 사진), 하이에나 우리, 곰 우리, 사자 우리 등이 있었습니다. 치타, 하이에나, 곰처럼 점프를 잘 하지 못하는 동물들은 구덩이로 해자를 만들었고 사자, 오랑우탄, 미어캣 등 헤엄을 잘 치지 못하는 동물들은 물을 이용해 해자를 만들었었습니다. 또 퓨마나 표범처럼 수영도 잘 하고 점프도 잘하는 동물들은 유리로 벽면을 처리해 가까이에 ...
-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0531
- 지난 4월 30일, 인천 교동도 대룡시장에 셀카봉을 든 60여 명의 사람들이 모였어요. 올해 처음 선보인 지구사랑탐사대 제비 현장교육이 열렸거든요. 이날을 시작으로 5월 한 달 간 전국 18개 지역에서 수원청개구리와 제비 현장교육이 이뤄졌답니다. 수원청개구리를 찾으러 논의 진흙구덩이에 빠지고, 시장에서 제비 둥지를 찾아 헤맨 즐거웠던 현장을 만 ...
- 제2차 화석 발굴 여행: 포항 신생대 마이오세 퇴적층 다양한 화석의 보고기사 l20160419
- 볼 생각이었다. 꽤 재밌는 광물과 화석이 나올 것 같다. 혹시라도 이곳에 탐사가시는 분들께서는 조심해서 다뤄주셨으면 좋겠다. 저 구덩이에서 조개껍데기 조각들이 많이 나왔다. 맛난 쿠키 표면에 굵은 설탕을 발라놓은 듯한 광물도 만났다. 석영이 촛농처럼 흘러내린 모습이다. Salix sp. 목재 화석. 자작나무와 단풍나무의 목재로 의심된다. ...
- 태양계-목성 목성에 대하여기사 l20160122
- 불리고, 목성의 위성 중에 가장 큰 위성들이다.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는 행성인 수성보다 크다. '칼리스토'는 달이나 수성처럼 운석구덩이가 많은 위성이다. '이오'는 공기에 유황이 섞여있어서 알록달록하다. '에우로파'는 가는 줄무니가 가장 많은 얼음으로 덮여있는 위성이다. 난 목성에 계속 흥미를 갖고 연구해 목성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고 ...
- 광릉 수목원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하는 수목원기사 l20140518
- 흙을 털어낸다. 3.채집된 식물을 비닐 주머니에 넣는다. 4.채집 번호와 날짜, 장소 등을 적은 후, 비닐 주머니 안에 같이 넣는다. 5.파진 구덩이는 식물 뿌리에서 털어낸 흙을 사용하여 덮는다. 나무 채집하기 1.꽃이나 열매가 달려있거나, 식물의 전체 모습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가지를 고른 후 전정 가위로 자른다. 2.채집된 나뭇가지를 ...
- 바람 따라가는 똑똑한 나방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얼음과 탄소가 풍부하게 매장돼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포보스 한쪽 끝에 움푹 파인 곳은 ‘스티크니’라는 크레이터(운석구덩이)로, 폭이 9㎞나 돼요. 1877년 포보스를 처음 발견한 미국의 천문학자 아사프 홀의 부인 이름을 따서 지어졌지요. 그리고 앞쪽에 보이는 푸르스름한 부분은 다른 곳에 비해 최근에 생긴 곳이랍니다. [소제시작]네안데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2)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화석을 연구하는 거예요. 10000BC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화석도 많이 발견되고 있지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는 라브레아 *타르 구덩이라는 곳이 있어요. 라브레아는 스페인어로 타르를 뜻하는데, 이 지역에서 100만 개 이상의 홍적세 동물과 식물 화석이 발견됐어요. 이 곳에는 지금도 가스를 뿜어 내는 타르 늪이 있는데, 10000BC의 ...
- 화장실 익스프레스(1)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있었어. 이건 또 뭐지? “여기서는 높은 굽이 달린 신발이 필수지요.” “으아아악! 발에 똥 묻었어!” 뒤를 돌아보니 첫 번째 역에서 구덩이에 빠진 그 녀석이잖아? 그러고 보니 바닥이 온통 똥, 오줌 투성이야. 도대체 누가 버린 거야? “중세로 접어들자 사람이 점점 더 많이 모였고 도시가 생겨났어요. 좁은 공간에 옹기종기 모여 살 수 있는 4~ ...
- 화장실 익스프레스(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오줌 웅덩이에는 온갖 쓰레기와 죽은 동물이 담겨 있었죠. 며칠이 지나면 웅덩이는 썩고, 병균과 기생충이 바글거리게 되죠. 그런 구덩이 수십 개가 길거리에 있으니…. 결국 콜레라와 티푸스 같은 전염병이 번져 수만 명이 목숨을 잃었어요.” 휴~, 화장실만 제대로 있었어도…. “그렇죠. 아무튼 그 덕분에 상하수도가 만들어졌고 수세식 변기도 발명되었답 ...
- 점점 커지는 구덩이는 외계인의 흔적?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우발라’라고 한다. “구덩이를 보면 어딘가에 물이 빠져 나가는 구멍이 있을 거예요. 그 구멍으로 물이 빠져 나가면 하루아침에 구덩이가 바닥을 드러낼 수도 있답니다.” [소제시작]사건 해결 - 올여름 피서는 석회동굴로![소제끝] “외계인의 흔적이 아니라 카르스트 지형의 특징이라구요?” “외계인이 아니라니 정말 아쉬워요. 하지만 카르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