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상공"(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감히 달이 해를 먹다니!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우주선인 ‘스페이스십원’을 15㎞ 높이까지 실어 나르면, 이 때부터 항공기에서 분리된 우주선이 하이브리드 연료를 이용해 100㎞ 상공까지 올라가게 돼요. 그리고 약 5분 동안 무중력 상태를 경험한 뒤 다시 지구로 돌아오는 거지요. 지난 7월 말,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서는 이 우주여행에서 우주선을 실어 나를 항공기인 ‘이브’가 공개되었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거랍니다. [소제시작]100년 전 퉁구스카에선 무슨 일이? [소제끝] 헬리콥터를 타고 둘러보고 있는 이 곳은 시베리아 퉁구스카 강 근처 상공입니다. 저 아래 *타이가 삼림지대가 보이는군요. 지금 시각은 1908년 6월 30일 오전 7시 16분, 아직은 고요하기만 한 이 곳에 잠시 후 엄청난 일이 벌어진다고 합니다. 이제 시계는 7시 16분 50 ...
- 국제우주정거장 응답하라, 오버!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마쳤고, 명예기자 하진이도 13번째로 교신에 나섰어요. 하지만 아쉽게도 이 때 시간이 오후 8시 8분. 국제우주정거장이 막 한반도 상공을 벗어나 이소연 누나의 답변은 잡음 속으로 숨어 버렸고 교신은 끝이 났어요. 교신이 끝나고 하진이가 교신기를 놓자 숨죽이고 지켜보던 모든 사람들이 기립박수를 쳤답니다. 우주인과의 교신 성공을 축하하는 감격의 박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GPS가 있으니 걱정없지. GPS는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이 보내오는 정보로 위치를 알아 내는 장치야. 모두 24개의 위성이 약 2만㎞ 상공에서 하루에 두 번씩 지구 둘레를 돌고 있지. 원래 미국 국방부에서 미사일을 유도하기 위해 만든 위성항법시스템인데, 1990년대 들어 자동차 안내장치나 휴대전화의 친구찾기, 위치추적 등으로 이용되기 시작했어. ...
- 첫눈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0℃보다 높아도 눈구름이 만들어지는 곳의 기온이 낮으면 눈이 되어 떨어집니다. 이번에 온 폭설의 경우에도 지표면은 영상이었지만 상공 5㎞ 부근은 영하 35℃ 안팎의 온도였다고 하는군요. 이 곳에서 구름이 눈이 되어 내릴 때 지표면까지 오는 동안 녹지 않으면 눈이 내리는 것이고 녹으면 비가 되어 버린답니다. 이제 정말 겨울이에요. 감기 조심하세요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가구야’를 발사했어요. 가구야는 현재 달 궤도에 진입해 달을 돌고 있죠. 가구야에서 본 지구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가구야가 달 상공 100㎞에서 찍은 지구의 모습이 처음으로 공개됐어요. 지구가 달 남극 근처 지평선에서 차츰 지는 모습이죠. 마치 해가 지는 것 같죠? 푸른 지구와 황량한 잿빛의 달 표면이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어요. [소제시작] ...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공기가 없는 우주와 달리 지구는 공기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암석이나 먼지가 대기권으로 들어와 떨어지면서 불에 타요. 보통 지표면 상공 80~120㎞ 사이에서 유성이 나타나지요.” “닥터고글 말이 정확해. 지구에서 보면 유성은 하늘을 가로질러 별빛이 발사되는 것 같아서 서양에서는 ‘슈팅 스타’라고도 하지.” “에? 먼지가 타는 거라구? 닥터고글 ...
- 빛의 기원 파헤칠 새 우주망원경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만든 최초의 과학 관측 로켓이다. 이 로켓은 무게 1.3톤, 지름 42㎝, 길이 6.72m의 1단 로켓이다. 발사 후 39㎞ 고도까지 올라가 한반도 상공의 오존층을 관측하는 등 여러 과학실험을 하며 3분 동안 비행한 뒤 서해로 떨어졌다. 1954년 6월 7일 컴퓨터 이론을 창안한 수학자 앨런 튜링 자살 매킨토시 컴퓨터의 로고인 ‘한 번 베어 문 ...
- 페가수스가 마신 물어린이과학동아 l20070430
- m 크기에 무게가 3톤인 탐사선이에요. 탐사선에는 50㎏의 소형 위성 2개가 함께 실려 있대요. 셀레네 탐사선과 소형 위성은 달에서 100㎞ 상공을 위성처럼 돌며 달의 지각과 원소 종류, 중력 등을 조사해요. 현재 세계에서 달 탐사에 성공한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 두 나라뿐이지만 일본을 비롯해 중국, 인도, 유럽 등이 달 탐사에 도전 할 계획이래 ...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2)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알려 줄 뿐만 아니라, 내가 있는 곳까지 오는 가장 빠른 길도 알려 준다. GPS의 두뇌, 위성 위성이 없으면 GPS도 없다. GPS 위성은 약 2만㎞ 상공에서 24시간에 두 번씩 지구 주변을 돌고 있으며, 총 24개가 활동중이다. 위성이 하나만 있다면 내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를 확인할 수 없다. 예를 들어, 1월 1일 오전 7시의 서울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