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인공"(으)로 총 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소연 박사님과 함께, 우주에서 기다릴게기사 l20240823
- moon 이라는 연설을 시작으로 우주를 향한 대항해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존.F 케네디 연설 모습. 출처:위키피디아)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 (1957 소련) 첫 달 착륙, (1964, 미국 아폴로 미션) 최초 민간 기업 우주발사체 발사 성공, ( 스페이스X의 팔컨 9) 등 지금은 우주 대항해 시대의 중점 ...
- [우주 기자단]-한화 에어로 스폐이스 본사에 다녀오다!기사 l20240823
- 인공위성을 발사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것에서 알수 있듯이 발사체의 중요성도 매우 커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도 인공위성을 제작했지만 아직 발사체가 상용화 되지 않아서 발사하지 못한 위성도 있다고 합니다. 출처:동아사이언스 또 차장님은 세계 여러 나라들의 발사체 개발 비용을 알려주셨습니다. 일본 ...
- 우주인에 더 가까워지기 위한 코오롱 ONE & ONE TOWER 방문기사 l20240822
- 아쉬움이 큰 것 같다. 마지막 하일라이트는 송하울 연구원님께서 코오롱이 직접 개발한 복합소재가 우주에서 어떻게 상용되는지와 인공위성이 우주 쓰레기를 처리하는 등 코오롱이 투자한 한빛 TLV등 코오롱이 우리나라 우주 산업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을 알려주셨다. 현재 연구 개발 중인 부분들이나 외부로 유출되면 안되는 여러 가지 자 ...
- 우리나라 우주 산업 화이팅기사 l20240821
- 그런지 스페이스 엑스의 우주복은 보기에 훨씬 가벼워 보였습니다. 다른 나라의 우주 산업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셨습니다. 영국은 인공위성 기술이 뛰어나지만 발사체 기술이 부족하여 미국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국은 미국에 도움을 요청하지만 미국은 잘 도와주지도 않고 도와준다 해도 비용을 많이 받고 도움을 준다고 합니 ...
- 에코 롱롱 큐브에 다녀오다!!기사 l20240820
- 공동체를 만드는 게임을 좋아해서 재미있게 했습니다. 모든 에너지 체험들을 마치고 레고를 이용해서 나만의 우주 탐사선, 그리고 인공위성 만들기를 했습니다. 처음에는 어떻게 만들지 많이 고민했었는데 선생님들이 좋은 아이디어를 주셔서 잘 만들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번 현장 미션에서 정말 재미있는 체험 많이 한 것 같아요!! 앞으로도 열 ...
- [현장미션]우주인이 우주정거장에서 지내며 가장 힘든 것과 즐거웠던 것기사 l20240820
- 멋진 경험과 생활을 하는 시대가 오기를 간절히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이소연 박사는 우주비행이론 분야를 개척하여 로켓과 인공위성 연구에 크게 공헌한 구소련의 물리학자,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Konstantin Eduardovich Tsiolkovskii)의 “세상은 인류의 요람이나, 영원히 그 요람에 머물수 없다.”는 말로 어린이들이 우주 ...
- 친환경에너지를 배우기 위해 에코롱롱 큐브에 다녀오다기사 l20240817
-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저의 인공위성은 많은 태양광 패널을 가지고, 태양광패널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인공위성을 발표하고 체험이 끝났습니다. 이번 에코롱롱 큐브 활동을 통해 친환경에너지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사용을 위해 더욱 더 노력해야 겠습니다. 이상으 ...
- 우리나라의 우주 산업기사 l20240815
- 그래서 그런지 훨씬 가벼워 보입니다. 다른 나라의 우주 산업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셨습니다.특히 영국에 대해서 말입니다. 영국은 인공위성을 잘 만들지만 로켓이 없어 미국에게 도움을 많이 청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미국은 잘 해주지 않고 해준다 해도 비용을 많이 받고 해줍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내년 11월 이면 새로 ...
- 한화에 찾아갔다온 김지오 기자기사 l20240813
- 못 올렸다. 왜냐하면 옛날에는 우주선이 비싸기만 하고 쓸모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인공위성이 중요하다. 그래도 영국은 인공위성이 뛰어나지만, 돈이 없어서 못올리고 있다. 아르테미스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미션은 달에다 거주를 하는 게 최종 목표이다. 여까지 한화에 갔다온 김지오 기자 입니다 ... ...
- 7년을 기다린 매미 - 지사탐 매미 남산 현장 교육기사 l20240813
- 온도가 되어야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매미는 대부분 낮에 우는데요. 밤에도 매미가 우는 이유는 빛에 민감한 매미가 가로등과 인공불빛을 낮으로 착각해서 우는 것이라고 합니다. 온도에 민감한 매미는 한여름 열대아가 있는 밤에도 운다고 합니다. 매미는 땅 속 애벌레(약충) 상태로 7년이 넘는 오랜 시간을 지나 세상에 나와서 2-3주, 길게는 한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