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협약"(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 UN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 참가자 모집기사 l20140904
- 리조트와 휘닉스파크 리조트에서 진행하는 'UN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예요. UN생물다양성 청소년총회는 2014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를 기념하는 공식 부대행사로써 참가비만 17만원에 이른답니다. 하지만 동아사이언스 기자단을 통해 선발된 기자는 무료로 참가할 수 있어요. 학생들은 팀을 나눠 각 생물분류(식물류, 곤충/거미류, 포유류, ...
- 우주항공 미래비젼 " 2040을 품고기사 l20140822
- 014년 7월 30일,동아사이언스와 항공우주 연구원의 협약으로 취재활동을 다녀왔다.항공우주산실인 연구원 1층 강의실에서 홍보영상을 시작으로 2040년에는 축구장 2배의 우주호텔이 만들어져 멋진 우주여행을 갈수 있는 날이 올것이다.홍보영상이 끝나고 1층 전시실에서 스마트 무인기 "드론" 을 보았다. 재난재해 감시용,지진사고,사고피해,복구에 이용된 ...
- 순천만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언제 한번 꼭 와 보세요. 람사르 협약에 가입 돼 있고 세계포스팅 l20140505
- 순천만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언제 한번 꼭 와 보세요. 람사르 협약에 가입 돼 있고 세계 5대 습지 중 하나입니다. 습지엔 짱뚱어,칠게,농게 가 있습니다.너무너무 귀엽습니다. 특히 짱뚱어는 새끼손가락 2마디가 채 안 될 크기에서 어른 엄지 2개정도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인데요. 톡 튀어나온 눈이 매력이지요. 습지는 언제까지나 보호 해야 할 곳 입 ...
- 2008 세계어린이 람사르총회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람사르협약에 등록되어 있는 습지가 50여 개 정도 있어. 이 습지들은 개발이 금지되어 있어서 보존이 잘 되고 있지만, 아직 람사르협약에 등록되지 못한 습지도 엄청나게 많아. 그리고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습지도 무척 많지. 앞으로 그런 습지까지도 모두 소중히 여기면 좋겠어. 난 우간다에서 온 루스야. 우간다는 선진국에 비해 개발 ...
- 펄떡펄떡~! 살아 숨쉬는 습지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10월 28일부터 11월 4일까지 경남 창원에서 열리는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를 기념해 ‘하천 및 습지 생태계 사진대전’의 수상작을 발표했어요. 계절에 따라 아름답게 변하는 하천과 습지, 그리고 그 곳에서 사는 동식물의 생명력 넘치는 모습들이 선보였답니다. 사진을 보면서 우리나라 습지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세요. 대상 - 비상(김후엽) |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2)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충격적인 내용이 눈에 들어왔다. “으잉? 외계인이 이미 지구에 와 있다고?” 외계인은 이미 지구에 와 있으며, 외계인과 모종의 협약을 맺은 정부, 또는 비밀 권력 집단이 그 사실을 숨기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심지어 어떤 사람은 외계인들이 정부의 허락을 받고 인간을 납치해 실험에 사용하기도 한다고 주장했다. “이게 정말일까? 만일 그렇다면 엄청난 ...
- SOS! 고래는 지금(1)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밀려온 고래만으로 충분하다는 거지. 한국만 해도 1년에 300~400마리가 그물에 걸려 죽거든. 유엔환경계획(UNEP) 이동성야생동물종 보전협약 사무국은 2007년을 ‘돌고래의 해’로 정해 고래 보호캠페인을 펼치기도 했어. 또 그린피스 같은 환경단체는 포경선과 직접 맞서고 있지. 한국에서도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회원들이 지난 3월 고래보호를 ...
- 한반도의 멸종위기 동물들-우릴 아프게 하지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061128
- 깨닫고 다시 노력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니 우리 멸종위기 동물들도 힘을 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1993년 12월 29일은 생물종다양성보존협약을 지키기로 발표한 날이야. 이 날을 기념해 매년 12월 29일을‘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날’로 정했단다. 생물종 다양성 보존이란 다양한 유전자와 다양한 생물, 다양한 생태계라는 세 가지 생명의 원천을 보존하 ...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060530
- 배출하는 공해 물질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서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강제로라도 무공해 에너지를 사용하게 하는 국제기후협약과 같은 약속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큰 이유는 앞으로 20년 후면 에너지 부족을 피부로 느낄 것이고, 50년 후에는 거의 바닥이 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 때문이다. 새로운 에너지를 확보하지 못한 나라가 강대국이 ...
- 날씨가 척척, 디지털예보 시대!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보호하는데 필요한 국제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지구온난화 같은 기후 변화나 오존층 보호에도 세계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관련 국제협약이나 규칙을 만드는 일도 한다. 1963년 9월 고층기상관측 시작 고층기상관측에는 라디오존데와 윈드프로파일러가 사용된다. 라디오존데는 헬륨가스를 채운 풍선을 하늘로 띄워 기압이나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측정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