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뉴스
"
고안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종이접기 기술,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10.26
8/nature04586) 로더먼드 교수는 긴 DNA 주형 가닥을 짧은 스테이플 DNA를 이용해 접는 방법을
고안
했습니다. 그는 이 방법을 통해 스마일 모양 구조체를 만들었어요. 짧은 DNA 가닥을 여러 개 이용하면 이처럼 복잡한 모양도 만들 수 있죠. 이 교수는 "나노 구조체를 만들 수 있는 레고 블록이 많아진 셈 ... ...
메조다공성 활용, 신개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해당한다. 메조다공성 구조의 이황화몰리브덴을 전자 수송층으로 활용한 고효율 및
고안
정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식도. 고려대 제공 이황화몰리브덴은 기존 이산화티타늄보다 비교적 저온인 100℃에서 공정이 가능하다.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와 격자 구조에서 유사성이 있어 페로브스카이트 ... ...
초당 117GB 속도로 무선 데이터 전송 '세계 신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기존 통신 시스템에 광학 기술을 결합해 데이터 전송 대역폭을 크게 넓히는 방법을
고안
했다. 연구팀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기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쓰고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레이저를 활용해 전체 데이터 전송 대역폭을 확장했다. Zhou et al.(2024)/Journal of Lightwave Technology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미국 카네기멜론대 바이오의공학과 교수팀은 '속도+정확도 작업'이라는 행동 실험을
고안
했다. 원숭이는 커서에 손을 대고 있다가 표적이 나타나면 재빨리 손을 표적으로 이동해야 한다. 일정 시간 일정 범위 내에 손을 대야 성공하고 보상으로 달콤한 주스를 받는다. 이때 보상은 크기에 따라 네 ... ...
인간 뇌 닮은 '전자피부', 물방울 압력까지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연구팀은 뇌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왼쪽)을 모사한 압력 센서 원리(오른쪽)를
고안
했다. DGIST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압력 센서는 투명하고 유연할 뿐 아니라 심박수, 손가락 움직임, 물방울 압력까지 감지할 정도로 민감도가 높았다. 내구성도 뛰어나 1만 번 이상 반복 사용해도 안정적으로 ... ...
[IAC2024] ‘중력 없어도 따르는 샴페인’…비우주기업의 우주산업 진출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스타트업들은 우주 공간에 정주하는 우주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기술과 서비스를
고안
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계획을 공유했다. 이들은 비우주기업이 우주산업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각자의 고민을 이야기했다. 기계, 엔지니어링, 모빌리티 등 직접적인 우주탐사가 아닌 다른 산업 분야 ... ...
재발 잦은 크론병, 합병증 줄이는 새 수술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기존 크론병 수술법을 보완하는 새 수술법 ‘델타형 스테이플링 문합술(DSA)’을
고안
했다고 14일 밝혔다. 크론병 수술은 장의 일부를 잘라내고 봉합해야 한다. 수술 부위가 넓어 바늘과 실로 하는 문합술보다 스테이플러를 이용한 문합술을 시행한다. 일정한 간격과 압력으로 봉합을 할 수 있어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Random Noise Stimulation)'으로 배외측전전두엽 피질을 자극해 식욕을 억제하는 방식을
고안
해 냈습니다. tRNS는 두개골을 통해 뇌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해서 뇌의 특정 영역에 불규칙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2008년 다니엘 터니 당시 독일 괴팅겐대 연구팀이 처음 개발했습니다. (doi: 10.1523 ... ...
[노벨상 2024] 챗GPT 낳은 인공신경망 토대 구축 존 홉필드·제프리 힌턴 물리학상 영예(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이미지. 노벨재단 제공 힌턴 교수는 홉필드 네트워크를 발전시킨 '볼츠만 머신'를
고안
했다. 이 알고리즘은 인공신경망에서 각각의 정보를 받아내는 연결점들을 복잡한 거미줄처럼 구성했다. 연결점들은 드러난 점과 숨겨진 점으로 구분된다. 볼츠만 머신은 숨겨진 노드를 활용해 알고리즘의 계산 ... ...
"암흑물질 'DFSZ액시온' 연구 2팀 중 한 팀은 한국…발견만 하면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오래 걸리기 때문”이라면서 “원통형 공진기를 피자 조각처럼 나눈 '다중방 공진기'를
고안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다중방 공진기 안의 시뮬레이션된 전기장 분포. 각각의 셀은 하나의 작은 공진기 역할을 하며, 주어진 부피를 최대한 이용하면서 공진 주파수를 늘릴 수 있다. IBS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