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네랄
광석
무기물
미네럴
금속광물
금속
조암광물
뉴스
"
광물
"(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지질과학총회에 쏠린 관심...대왕고래 프로젝트 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세계지질과학총회 홍보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지질학 최고 권위의 학술대회인 세계지질과학총회(IGC)가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6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총회 ... 카자흐스탄
광물
자원탐사회사인 카작무스 발라오와 업무협악을 체결해 국외 핵심
광물
자원개발 협력을 도모한다 ... ...
동해에 뜬 '대왕고래'…과학자들이 말하는 영일만 유전 개발
과학동아
l
2024.08.24
원장은 보도자료에서 "이번 국내 리튬 자 원의 탐사 결과는 그동안 해외에 의존했던 핵심
광물
공급망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한다는 큰 의미를 가진다"고 평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8월호, [과학으로 뉴스읽기] 동해 심해에 140억 배럴 석유 ·가스가 ... ...
"달 남극에 과거 마그마 바다 있었다"…인도 탐사선 '찬드라얀3호' 탐사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광물
인 '페로안 사장암(아노르토사이트)'이 녹은 마그마가 표면으로 떠오르고 무거운
광물
은 가라 앉았다고 설명한다. 뜨거운 마그마가 굳어 표면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찬드라얀-3호의 탐사로버 '프라기안'은 착륙지 주변을 10일 동안 돌아다니며 탑재체 '알파 입자 X-선 분광기'로 암석의 원소 ... ...
"공룡 멸종시킨 충돌체 정체는 목성 너머에서 온 탄소질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온도가 너무 높아서 휘발성 화학물질이 응축하기 어려웠다. 중심부에서 생긴 소행성은
광물
이 주로 포함됐고 바깥쪽에서 만들어진 소행성은 물과 탄소 등 휘발성 화학물질을 더 많이 포함하는 탄소질 소행성이 됐다. 연구팀은 "탄소가 풍부한 운석은 햇빛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숯 검댕 ... ...
해수담수화로 이산화탄소 줄이고 마그네슘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공존한다. 이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폐농축수의 이산화탄소를
광물
화하는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폐농축수에 가성소다를 첨가해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칼슘을 만든 뒤 이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고순도 '알칼리탄산마그네슘'과 '탄산칼슘'을 생성한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일상화되어 있을 정도로 X선은 이제 필수기술이 되었다. 화학, 공학, 생물학, 지질학,
광물
학 등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X선은 인간의 눈으로 보지 못하는 걸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사람뼈 사진만으로 나이를 알아낼 수 있고 턱과 이의 사진을 이용하여 누구인지를 식별이 가능한 ... ...
빛 없는 심해에서
광물
이 산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6
띤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다금속 단괴는 퇴적물로 덮인 심해저 평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물
덩어리다. 주로 철과 망간 산화물로 이뤄졌지만 전자기기의 이차전지 재료로 쓰이는 리튬이나 코발트 등 희토류 금속도 종종 포함돼 자원 가치가 높다. 채취한 일부 단괴 표면에서 최대 0.95V(볼트)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함께 수소가 있는 조건에서 살았을 것이므로 서식지로 해저가 가장 유력하다. 해저의
광물
이 변성되는 과정인 사문석화작용에서 발생하는 수소가 전자를 공급해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 아세틸CoA를 만든다. 오늘날 생명체 대다수의 게놈에는 우드-융달 경로를 이루는 유전자 세트가 없다. 진화 ... ...
지구 대륙, 알려진 것보다 10억년 앞서 형성됐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대륙이 생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호주 잭힐스 지역에서 발견된 단단한
광물
인 지르콘에 주목했다. 지르콘은 마그마 등 화성암에서 생기는 I형(I-type) 지르콘과 육지 퇴적암에서 형성돼 맨틀로 가라앉았다가 화산 폭발로 다시 밖에 나오는 S형(S-type) 지르콘으로 나뉜다. 연구팀은 ... ...
한국서 리튬 개발 잠재성 확인…"생산 연계는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이어 나갈 예정이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이번 탐사 결과는 해외에 의존했던 핵심
광물
공급망의 새 활로를 개척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