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뉴스
"
근처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위성으로 세계 최고 해상도 이미지 촬영한 대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시스템을 갖췄다. 아크에지 스페이스는 온글라이샛이 410km 상공에서 미국 시애틀
근처
와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지역 등을 촬영한 흑백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건물과 도로가 자세하게 보인다. 해상도 2.5~3m에 달하는 수준으로 초소형위성으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국내 스타트업이 ... ...
"실험실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전자기학과 양자역학을 결합한 현대 물리학 이론이다. 먼 우주의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근처
에서는 중력과 전자기장의 세기가 매우 강하다. 이런 환경에서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에 따라 물질이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서 질량이 무거워지고 시간이 천천히 흐르고 길이가 수축하는 등 ... ...
지구인 절반 쓰는 '인도유럽어' 기원, DNA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코카서스산맥과 볼가강 하류에 살던 사람들이 약 6000년전 서쪽으로 이동해 흑해
근처
에 살던 다양한 집단과 섞이며 얌나족이 등장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증거를 바탕으로 최초의 인도유럽어는 코카서스 산맥-볼가강 하류 사람들이 사용했고 이후 얌나족이 이어받아 유럽으로 널리 퍼뜨렸다는 ... ...
"달 거대 협곡 10분만에 만들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협곡(Vallis Schrodinger)과 플랑크 협곡(Vallis Planck). 달과 행성연구소 제공 달의 남극
근처
에 있는 거대 협곡 2개가 10분 만에 형성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국립과학원 산하 대학우주연구협회(USRA)의 달과 행성연구소(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연구진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달 정찰궤도선의 ... ...
필수의료 전문의 부족에 '숙련 간호사'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한 대학병원 응급실
근처
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중증·응급 등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의료 분야인 필수의료가 전문의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정부는 중환자실과 지역 종합병원에서 필수의료 분야를 담당하는 ‘숙련 간호사’ 양성에 나선다. 지난해 보건복지부는 ... ...
스페이스X 로켓 '스타십' 시험발사, 현지에선 '민폐'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순간보다 1단계 부스터 로켓이 재활용을 위해 돌아올 때 더 컸다. 최대 측정값은 125dB로
근처
에서 총을 쏠 때 나는 소음과 비슷한 수준이다. 연구팀은 스타십의 발사 소음은 과거 소음 때문에 운항이 제한됐던 초음속 비행기 소음보다도 크다고 지적했다. 초음속 제트기인 콩코드는 초음속 비행 시 ... ...
야생 멧돼지 도심 출몰 소동…드론이 해결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그가 주목한 것은 드론이었다. 그는 트럭을 타고 곰들의 서식지
근처
로 이동해 드론을 조종했다. 곰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정확하게 이동한 드론은 효과적으로 곰들을 산란시켰다. 드론의 윙윙거리는 큰 소음은 곰들을 쫓아내는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야간에도 열화상 ... ...
SMR보다 더 작은 '마이크로원자로' 온다…"극한환경에서 전력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제한된다. SMR은 해수가 아닌 자연 대류 현상을 이용해 원자로를 식히기 때문에 수요지
근처
에 건립할 수 있다. SMR은 대형 원전에 비해 안전하기도 하다. 원자로 사고 대부분은 핵심 장비들을 연결하는 파이프에서 누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냉각수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발생한다. ... ...
中, 세계 최대 중성미자 검출기 8월 첫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1.27
RENO 연구팀은 2011년부터 전남 영광군 한빛 원전
근처
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중국은 적도
근처
바다의 수심 3500m 지점에 '트라이던트(TRIDENT)'라는 초대형 중성미자 검출기도 2030년 완공 계획으로 추진 중이다. 700m 길이의 케이블 1211개에 2만4000개 이상의 센서를 달아 7.5㎦ 범위에 들어오는 중성미자를 ... ...
조기 출산 원인 단백질 발견…"분만 시기 조절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유전자의 비활성 상태가 더 오래 유지될 수 있었다. KDM6B를 사용해 임신과 관련한 유전자
근처
히스톤의 메틸기를 조절하면 분만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KDM6B 단백질이 인간에게도 동일하게 작용하면 임신 기간을 예측하거나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며 "대부분의 조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