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10억번 이상 스위칭해도 끄떡없는 '반도체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상전이 바나듐 산화물 반도체는 특정 임계 전압에 다다르면 소재 특성이 절연체에서
금속
으로 바뀌어 전기 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 반도체는 저전력 광전자 소자 및 뉴로모픽 신소자를 위한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응집물리의 양자현상을 연구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하지만 ... ...
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모식도. IBS 제공 결정 경계의 종류 중 하나인 '거울 쌍정 경계(MTB, Mirror Twin Boundary)는
금속
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한쪽 원자 배열이 맞은편 원자 배열과 거울상을 이루는 형태다. 연구팀은 이황화몰리브덴의 거울 쌍정 경계에서 1차원 전자계 구현의 실마리를 얻었다. 먼저 사파이어 기판 ... ...
서울 세계불꽃축제 후 초미세먼지 최대 32배 폭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화약과 함께 포함된
금속
들은 연소하면서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뿜는다. 불꽃놀이는
금속
입자나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을 대기 중으로 방출해 공해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있었다. 공기 중에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확산도 빠르다. 연구팀은 국내 대형 불꽃놀이가 대기와 ... ...
中 희토류 자원에 의존하던 영구자석 국산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재료연 제공 연구팀은 입계확산공정을 2단계로 나눴다. 1단계에서는 녹는점이 높은
금속
이 포함된 신물질을 영구자석에 침투시킨 뒤 상온에서 냉각처리했다. 2단계에서는 저렴한 경희토류 프라세오디뮴(Pr)이 포함된 물질을 다시 도포해 고온처리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2단계 공정은 ... ...
[미리보는 노벨상]① 인류 최대 도전 '기후위기', MOF가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25.02.01
것은 1995년 야기 교수가 발표한 MOF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연구였습니다. 유기 리간드는
금속
이온에 전자쌍 전체를 제공하는 '배위결합'을 통해 화학 결합을 이룹니다. 배위결합의 강도와
금속
-유기 리간드의 결합 수에 따라 만들고자 하는 다공성 물질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해 ... ...
백금 사용량 10분의1 줄여 '수전해 셀'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새롭게 개발된 자가조립원조 귀
금속
동적배치 전략은 수전해 셀뿐만 아니라 다양한 귀
금속
기반 촉매 공정에도 응용할 수 있어 산업적 파급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안바이론멘탈 사이언스‘에 18일 후면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doi.org/10 ... ...
[과기원NOW] KAIST, 원하는 소재 개발하는 AI '모퓨전'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박준길 연구원. KAIST 제공 ■ KAIST는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원하는 물성을 가진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생성하는 인공지능(AI) 모델 '모퓨전(MOFFUSION)'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MOF는 다공성이 특징으로 유용 물질 개발에 ... ...
인공태양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내는 다공성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중수소를 분리해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수소 분리는 극저온에서 이뤄진다. 개발된
금속
유기 골격체는 엔트로피 기반 구조 설계전략이 적용됐다. 여러 가지 유기물 리간드를 ‘칵테일’처럼 섞어 ‘무질서도’인 엔트로피를 올린 것이다. 고엔트로피 상태에서는 수소와 중수소를 분리하는 ... ...
시야 제한 화재·재난 공간, 드론 통해 촉각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로 가열하면 변형된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돌아오는 특수
금속
이다. 촉각을 구현하는 작동기로 사용됐다. 연구팀은 가볍고 단순한 직교 메타구조로 3차원(3D) 공간정보를 촉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공간 인식 기반 햅틱 내비게이션의 새로운 영역을 ... ...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내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필요한 핵심 단백질 ‘샤페론(Chaperone)’에 주목했다. 샤페론은
금속
이온을 다른 단백질에 전달하는 단백질이다. 샤페론은 세포 내에서 단백질이 3차원으로 올바로 접히도록 하고 잘못 접힌 단백질의 응집을 방지해 단백질이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돕는다. 먼저 연구팀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