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뉴스
"
긴
"(으)로 총 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AI로 두 현미경 합쳐 고해상도 세포 이미지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광독성 등이 세포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반면 ’중적외선 광음향 현미경(MIR-PAM)‘은
긴
파장의 물리적 한계로 해상도가 떨어지는 반면 염색 및 표지(라벨링) 없이 세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두 현미경의 장점을 융합하기 위해 ‘설명가능한 딥러닝(XDL)’ 기법을 ... ...
의도치 않게 '춤 추는' 희귀질환 헌팅턴병 새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시퀀싱(Drop-seq) 기술을 사용해 헌팅턴 단백질의 역할을 알아낼 수 있었다. 비정상적으로
긴
CAG 서열이 단백질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유전체의 RNA 발현을 분석했다.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 CAG 서열의 반복은 몇십 년에 걸쳐 천천히 증가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기 멸종한 캥거루, 인간 사냥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동부회색캥거루(학명 Macropus giganteus)가 풀을 뜯는 모습이 담겼다. 현재 호주에 번성하는
긴
얼굴의 캥거루와 달리 초식에 의존했던 짧은 얼굴 캥거루들은 과거 빙하기 식생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멸종한 것으로 추정됐다. 사무엘 아르만 호주 플린더스대 과학·공학대학 연구원팀은 멸종한 호주 ... ...
[헷갈린과학] 걷거나 물을 튕겨내거나…물개 VS 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1.11
털이 덮여 있고 암컷은 배 주변에 회색이나 밝은 갈색 털이 있어요. 물개의 튼튼하고
긴
털 사이에는 부드럽고 빽빽한 속 털이 나있는데 바깥 털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속 털은 물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개는 땅에서 앞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다리처럼 ... ...
체질량지수 25 VS 27…BMI 기준 논쟁
과학동아
l
2025.01.04
했습니다. 비만을 국가 차원에서 심각한 질환으로 인식하고 관리해 나가겠다는 의지가 담
긴
발의입니다. BMI 25와 27 사이의 간극을 보면서 신기하게 생각하신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진단 기준이 뭐길래 나는 가만히 있었는데 비만이었다, 아니었다 바뀌는 걸까 하고요. 20세기 초에 활동한 ... ...
영국 역사상 가장 큰 '공룡 발자국 유적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정보는 뼈 화석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번 부지에서 발견된 가장
긴
보행렬은 150m다. 연구자들은 현재 채석장의 일부에서만 발굴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그 길이가 더욱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회장에 임묘택 고려대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폭발·발화의 위험을 현저히 낮췄다. 기존 전지에 비해 빠른 충전속도, 고용량과
긴
수명 등 우수한 특성을 확보했다. 관련 기술은 국내 기업 마샬캡에 이전돼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 ...
"고차원 뇌 활동에 시간 더 많이 들어"…뇌기능 '시간적 스케일'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점점 증가하는 것을 관측했다. 뇌의 상위 영역으로 갈수록 정보처리를 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적 스케일을 사용하는 신경 활동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이와 같은 경향성이 영장류와 설치류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포유류의 뇌 진화에서 다양한 과제 처리를 위한 ... ...
100년 살 고래가 22년밖에 못사는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대서양
긴
수염고래의 수명이 실제로는 남방
긴
수염고래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adv.adq308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토물·배설물 화석, 공룡이 포식자된 이유 설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14
잡식성 공룡이 출현했다. 이어 트라이아스기에 식물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초식성인 대형
긴
목 용각류와 다양한 먹이를 먹는 초기 조반류가 번성했다. 이후 포악한 육식 공룡들이 포함되는 용각류가 거대하게 진화하면서 지상의 포식자로 자리잡게 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트라이아스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