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뉴스
"
꼬리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잘때 뇌 노폐물 청소? “딱히 그렇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5
때와 수면 또는 마취 상태의 쥐 뇌에서 체액의 흐름을 관찰했다. 형광 염료를 뇌의
꼬리
피질(CPu)에 주입하고 염료가 전두엽 피질에 도달하는 과정을 지켜본 뒤 뇌에서 염료가 제거되는 속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 깨어 있는 쥐와 비교해 수면 중인 쥐는 염료 제거율이 약 30% 낮았다. 마취 상태의 ... ...
인사하는 코끼리, 상대가 보지 않으면 소리 내고 '툭' 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내는 조합이 가장 일반적인 코끼리 인사법이었다. 암컷 사이에서 더 자주 사용됐다.
꼬리
를 위로 치켜들거나 흔드는 등의 동작도 관찰됐다. 코끼리 인사의 71%에서 배뇨와 배변, 분비물이 나왔다. 연구팀은 "인사할 때 냄새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 코끼리는 인사하려는 ... ...
독특한 성대로 큰 소리 내 몸집 커 보이게 하는 여우원숭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비해 크기가 작으며 다양한 목소리, 냄새 등을 사용해 의사소통한다. 연구팀은
꼬리
여우원숭이, 흑백목도리여우원숭이 등의 여우원숭이 후두를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스캔했다. 그 결과 모든 종의 후두에서 다른 영장류에서 발견되지 않는 한쌍의 주름인 성대가 더 있었다. 모든 영장류의 ... ...
한 과학영재의 자체 발광 식물 연구 일기
과학동아
l
2024.04.20
과학동아 전지적 독자위원회 4기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김민서(닉네임 전독위 4기
꼬리
별, 한국과학영재학교 1학년) 군이 그 주인공입니다. 틸란드시아, 국화 등 식물이 초록, 빨강, 파랑색으로 빛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민서 군은 자신의 연구 이야기를 과학동아 네이버 공식 카페에 ... ...
얼음 사이 미끄러지는 뱀 로봇…토성 위성에서 생명체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모두 할 수 있다. 연구팀은 뱀 모양이 복잡한 지형을 이동할 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꼬리
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머리에는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센서와 카메라, 조명 등이 달렸다. 연구팀이 캐나다 앨버타의 아타바스카 빙하의 얼음 지형에서 테스트한 결과 EELS는 능숙하게 빙하 표면을 가로질러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유인원
꼬리
퇴화시킨 '트랜스포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2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긴
꼬리
를 잡고 나무 위에 앉아있는 두 마리의 원숭이 사진이 실렸다. ‘
꼬리
에 대한 ...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나무에서 내려와 땅에서 사는 게 보다 유리했기 때문에
꼬리
상실이라는 변화가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
사람에게
꼬리
없는 이유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논문을 검토한 말테 스필만 독일 키엘대 교수는 “저자들에게 경의를 표한다”며 “
꼬리
를 없애는 일을 실제로 해냈다는 사실이 매우 들뜨게 만든다”고 말했다 ... ...
mRNA 보호하는 '혼합
꼬리
'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mRNA 안정성 조절과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며“혼합
꼬리
에 기반한 다양한 유전자 치료법 연구와 RNA 첨단 신약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구조 분자생물학’에 19일 게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해달 개체수 늘자 습지 침식 속도 느려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3
실었다.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달은 짧은 앞다리와 상하로 납작하게 눌린
꼬리
를 갖고 있다. 같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수달과 종종 헷갈릴 수 있는데 해달의 몸집이 수달보다 2배 가까이 크다. 서식지에도 차이가 있다. 해달은 주로 해안 부근 암초대에 서식하는 반면 수달은 강과 바다 등 물가와 ... ...
작은 공룡들이 사냥에 활용한 '이것'…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메뚜기는 깃털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깃털이 없는
꼬리
를 위협했을 때보다 깃털
꼬리
를 사용했을 때 신경세포의 반응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카우디프테릭스가 가진 깃털이 숨어있는 사냥감을 뛰쳐나오게 하는 용도로 사용했을 것이란 분석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