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즈막한 담장
벽
윗부분
가드레일
뉴스
"
난간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버지를 존경해 아버지의 무덤양식까지 따른 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6
형식을 따랐다. 각자 별도의 붕분을 갖는 쌍릉으로 조성되었는데 각 무덤은 12간의
난간
석으로 서로 연결된다. 봉분 아랫 부분에 화강암 병풍석을 쓰고 병풍석에 방울, 방패, 십이지신상을 새겨 넣은 것 모두 건원릉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다. 당시 왕비의 석곽은 서울 동대문구 창신동의 석산 돌로 ... ...
죽어서도 나란히 누워있는 왕과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마련한 쌍봉릉이며, 두 릉 모두 병풍석을 둘렀고 12칸의
난간
석으로 연결되었다. 봉분의 봉토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석(引石)에 화문(花紋)을 장식한 것이 이색적이다. 대체로 태릉과 마찬가지로 설치되었으나 혼유석은 각각 설치했다. 상설제도에 ... ...
관리 소홀로 산탄총 세례 받은 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5.27
참도에 계단이 있는 것은 극소수이다. 육경원에서 왕릉으로 변경되었지만 병풍석과
난간
석이 둘러지지 않은 쌍릉이다. 봉분은 자연과 맞닿은 부분에 아무런 조각이나 무늬도 새기지 않은 초석을 둘렀고 혼유석이 각각 놓여 있다. 제2계(階)와 제3계에 문무석 한 쌍 씩을 세웠다. 반면에 팔각 ... ...
조선 최고 지식인 왕, 아비가 둘이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때문에 다른 능에 비해 간소하다. 우선 동원이봉의 쌍릉으로 봉분 주위에 병풍석과
난간
석이 모두 생략돼 있다. 석양과 석호 각 한 쌍이 능을 호위하고 있으며 봉분 앞에 각각 혼유석을 두고 망주석 한 쌍이 서있다. 또 명릉처럼 사각 장명등과 문인석이 설치되었으나 무인석은 생략되었다. ... ...
왕비의 묫자리도 정치적 희생양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장경왕후의 천장에 동의하여 현재의 자리로 옮긴 것이다. 희릉은 병풍석이 없고 12간의
난간
석만 둘렀지만 조선 전기의 능제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왕릉의 격에 맞게 조성됐으므로 단명한 왕후의 능치고는 석물도 매우 규모가 크고 곡장이 둘려지고 석양과 석호가 봉분을 호위하고 있다. 봉분 ... ...
후사 없이 요절한 닮은 꼴 자매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세우지 않았을 뿐 능제나 상설 제도는 모두 조선 초기의 왕릉에 준하는 제도를 따랐다.
난간
석의 작은 기둥은 태조의 건원릉과 태종의 헌릉을 본받았으며 혼유석을 받치고 있는 4개의 고석에 새겨진 나어두문(羅魚頭文)도 문종의 현릉(顯陵) 양식을 따르고 있다. 석상 앞에 설치된 8각형 장명등은 ... ...
조선 왕조 마지막 왕릉…죽어서도 홀대받은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장명등이 두 석상 앞에 있기는 하지만 멀리 앞으로 나와 있어 특이하다. 두 봉분 모두
난간
석주에 동그란 원을 그려넣고 그 안에 문자를 새겨넣어 방위를 표시하고 있다. 문인석과 무인석은 머리가 지나치게 큰 가분수이다. 몸집도 비대한 것에 비해 키는 작지만 수염과 눈썹의 표현이 다소 ... ...
영조는 못 오고 정성왕후만 묻힌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줬다. 망주석에는 꼬리가 완연한 세호가 있다. 좌측 세호는 하향, 우측은 상향이다.
난간
석주에 방위 표시를 한 십이지가 문자로 새겨졌다. 정자각 왼쪽에 예감, 오른쪽 뒤편에 산신석이 있다. 비각에는 영조가 친히 내린 왕후의 시호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단목장화정성왕후 ... ...
꽃다운 나이에 스러진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지붕을 떠받드는 기둥 세 개가 옆에서 약간의 사이를 두고 있다. 병풍석을 두르지 않고
난간
석만 봉분 주위에 둘렀는데, 다른 왕릉과 달리 석주가 아닌 동자석 상단에 방위표시를 위해 십이간지를 글자로 새겼다. 장명등과 망주석에 꽃무늬를 새겨 넣고 완벽한 균형감과 정교한 표현이 뛰어난 ... ...
묫자리 잘못 써서 대가 끊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엿볼 수 있는 형식으로 봉분을 감싸는 병풍석을 세우지 않았으며, 봉분 주위로는
난간
석이 둘러져 있다. 석상·고석·석양·석호·장명등·문인석·무인석·석마 등의 석물 배치는 일반 왕릉과 같다. 특이하게도 대석주의 주두가 둥근 원수(圓首)와 그 아래 둥근 받침이 됐다. 또 석상을 받치고 있는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