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지
고리
ring
바퀴
높은이자
고금리
권투장
뉴스
"
링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튬이온전지 성능 '업'…흑연 대체 실리콘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자가 복원력을 가진 액체 금속의 갈륨의 장점을 가진 소재를 만들었다. 볼밀
링
은 금속 실린더와 볼로 구성된 분쇄 장치로 실린더가 회전할 때 볼과 재료가 마찰과 원심력에 의해서 재료를 미세한 분말로 분쇄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리튬이온전지 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키기 ... ...
포식자 말벌의 '전기장' 느끼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flailing)'이나 깨무는 행동을 한다. 이 애벌레도 말벌 모사 전기장이 있을 때 플레일
링
을 지속한 시간이 더 길었다. 또 전기장이 켜져 있을 때만 전극을 깨무는 모습이 관찰됐다. 식물 줄기에 있는 애벌레와 말벌 사이의 전기장 세기를 계산해 표현한 그림. PNAS 제공 나아가 연구팀은 주사전자현미경 ... ...
中, 세계서 가장 밝은 X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장점이 있다. 2028년 국내 도입될 계획인 오창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는 800m 둘레의 저장
링
을 사용해 3GeV의 에너지로 전자를 가속하는 사양을 갖추는 게 목표다 ... ...
농식품 원산지·성분 위조, 메타물질로 새긴 라벨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덧붙였다. 노준석 교수는 "광학, 소재, 나노기술 융합을 통해 만든 메타물질 스마트 라벨
링
기술은 의미 있고 상징적인 융합연구 사례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 ...
'빅뱅이론'이 흔들린다...기존 우주론 위협하는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않는다는 관측 결과를 공유했다. 이 밖에도 지름이 13억 광년이나 되는 거대 천체 '빅
링
' 등 기존 우주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관측 결과에 대한 토론이 이번 회의에서 진행됐다. 한국천문연구원(KASI)이 참여한 국제공동 프로젝트인 '암흑에너지 관측 프로젝트(DESI)' 연구팀도 최근 1년치 연구 ... ...
4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한신희·박용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용 밸브 국산화에 기여한 박용대 피케이밸브앤엔지니어
링
수석연구원이 이달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에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이달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한 수석연구원과 박 수석연구원을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 ...
조용히 차 따르려면…커피와 차의 과학
과학동아
l
2024.03.23
물과 함께 혼합된 가루가 물방울이 마르면서 가장자리부터 표면에 달라붙는 커피
링
효과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나노입자를 아주 얇은 막 형태로 씌우는 반도체 공정이나 코팅 공정 등이 대표적 사례다. 4. 아인슈타인이 이런 연구도? 찻잎 패러독스 디스코 팡팡을 떠올려보자. ... ...
지름 13억광년 거대 천체 발견…"기존 우주론으론 설명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새로 발견된 우주 천체는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보름달 15개를 붙여놓은 것과 비슷한 크기로 보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기존 우주론으론 설명하 ... 필요하다"고 밝혔다. '빅
링
'과 '자이언트 아크'를 묘사한 일러스트. 파란 점이 빅
링
, 빨간 점이 자이언트 아크. 영국 랭커셔대 제공 ... ...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사이에 동아시아 대륙에 거주했던 호모사피엔스의 흔적은 중국 푸옌 동굴, 라오스 탐파
링
동굴 등에서 발견됐다. 지난해 6월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등 공동연구팀은 약 8만 6000년~6만 8000년 전 호모사피엔스의 유골 화석을 라오스 북부에서 발굴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 ...
햇빛만으로 자가발열 극대화한 금나노입자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3
커피 필터의 가장자리에 밀집돼 남는 것과 같은 '커피
링
효과'를 방지할 수 있었다. 커피
링
효과가 발생할 경우 금 나노막대의 발열 효과가 가장자리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 김 교수에 따르면 금 나노막대를 환형으로 정렬한 시도는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처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