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영장 냄새는 락스 냄새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24.09.21
실제로 락스 자체는 거의 향을 내지 않는다. 락스 같은 염소계 표백제를 물에 풀면 물속
박테리아
를 파괴하는 차아염소산(HOCl)과 차아염소산염 이온(ClO-)이 만들어진다. 반응성 강한 이 물질들이 물속 오염물질과 반응하면서 살균작용이 일어난다. 살균작용 결과 '클로라민계 물질(Chloramines)'이 ... ...
이름 비슷한 아까시나무·아카시아나무 어떻게 다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21
땅에 영양소가 많아지고 다른 식물이 살기 좋아집니다. 아까시나무 뿌리에 있는 공생
박테리아
가 공기에 있는 질소를 흡수해 다른 식물들이 쓸 수 있는 영양소로 바꿔주기 때문에 아까시나무는 산림 복구나 토양 개선이 필요한 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노란 꽃은 아카시아나무. ... ...
"항생제 내성 '슈퍼
박테리아
'로 2050년까지 3900만명 사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9.18
연구팀은 "점점 더 많은 항생제가 남용·오용되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박테리아
가 내성을 갖도록 한다"며 "항생제의 과도한 사용을 억제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깨끗한 물과 백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는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 ...
중국발
박테리아
·곰팡이 수백종, 일본 3km 상공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주로 이용된다.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에서 추출한 DNA에선 266종의 곰팡이와 305종의
박테리아
가 발견됐다. 일부 미생물은 오염이 심한 토양에서 자라는 데 능숙한 종이었다. 또 일부는 인간의 체내에서 위험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바람의 발생지인 중국 북서부에는 ... ...
생명 활동에 중요한 '세포 엑소시스트' 원리, 단분자 수준에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항체를 분비해 몸속에 침투한
박테리아
를 방어하는 모습. 세포는 '세포 외 분비' 과정을 통해 세포 내 단백질이나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등을 세포 밖으로 내보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포 외 분비(Exocytosis)'는 세포가 세포 밖으로 단백질이나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등을 운반하는 과정으로 세포 ... ...
우리 몸에 자리잡는 식품미생물...질병에 영향 미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새롭게 분석됐으며 전체 데이터의 65%는 유제품에서 유래했다. 분석 결과 병원성
박테리아
는 많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음식의 풍미나 보존 기간에 악영향을 주는 미생물이 일부 확인됐다. 연구팀은 "생산하는 식품에 어떤 미생물이 있는지 알면 일관되고 우수한 식품을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 ... ...
블록처럼 특정 분자 결합해 발현 조절하는 바이오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플랫폼을 바탕으로 연구팀은 테오필린과 테트라사이클린 등 약물, 항생제뿐 아니라
박테리아
에서 생성된 특정 단백질(MS2)을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를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이 센서들은 타겟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반응하는 특이성뿐만 아니라 여러 센서를 함께 사용할 때 서로 간섭하지 않고, ... ...
없던 모성본능까지 만든다…나노가 바꿀 미래의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하는 동력이다. 이동을 하다가 타깃이 있는 곳에선 편모의 움직임을 멈춘다. 연구단은
박테리아
편모가 엔진과 클러치 원리로 움직인다는 점에 착안해 회전체(로터)와 엔진을 DNA로 코팅한 클러치 시스템을 만들었다. 유전자 신호가 감지되면 코팅된 DNA 가닥끼리 결합해 엔진의 힘이 로터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운명
2024.08.21
역부족이었다. 이때 나타난 협력자가 1977년 병원에 온 젊은 의사 마셜로 조직에서 얻은
박테리아
를 실패 끝에 운 좋게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두 사람은 이 발견을 1983년과 1984년 저명한 의학저널 '랜싯'에 발표하며 연관성을 시사했지만 주목받지 못했다. 두 사람은 이를 입증하기 위해 배양한 ... ...
세계 최초 '인체 질병 연관 미생물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1
가진 사람에게 어떤
박테리아
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를 분류하고 특정 기능을 특정
박테리아
와 연결시켰다. 분석 결과 환자들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서는 유해균인 푸소박테륨, 클로스트리듐, 연쇄상구균 균주가 증가했고 장내 유익균인 라크노스시라피에에 속하는 단쇄지방산(유익균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