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기
배지
뉴스
"
배양액
"(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두 배가 된다. 그 뒤
배양액
을 시험관에 나눠 다시 여러 조건에서 1년 동안 배양했다.
배양액
이 약간 뿌옇게 된(증식했다는 뜻이다) 시험관에서 시료를 채취해 메타게놈을 분석한 결과 아스가드 고세균을 비롯해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했다. 다만 철저하게 분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는 아스가드 ... ...
30년간 정설 뒤엎은 새로운 “세포간 소통 과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단백질이 대부분 세포막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혔다. 먼저 세포
배양액
을 분석한 결과 호메오 단백질이 검출됐다. 인체의 호메오 단백질 160여 개를 분석한 결과 95%가 세포 밖으로 분비돼 주변 세포로 이동했다. 호메오 단백질이 소수성인 세포막을 뚫고 나가고 들어오는 과정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양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8명의 분변 시료에서 얻은 장내미생물
배양액
에 딜티아젬을 넣어 대사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박테로이데스 테타이오타오미크론의 점유율보다 bt4096 계열 효소의 양에 더 관련돼 있었다. 장내미생물의 조성보다 대사 관련 효소의 유무와 양에 ... ...
문제 제기부터 허가취소까지…'인보사' 사태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넣은 다음, 다른 세포보다 성장이 빠른 신장세포(GP2-293)에 감염시킨다. 이후 세포의
배양액
을 연골세포에 뿌리면 연골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서 유전자가 삽입된다. 이렇게 유전자를 삽입한 세포(형질전환 세포)를 대량 배양한 뒤 방사능 처리를 한다. 이를 일반 연골세포와 1:3의 비율로 ... ...
인보사 방사선 처리 권고했다지만…해소되지 않는 성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생산률이 높기 때문이다. 생산된 바이러스는 GP2-293로부터
배양액
으로 나온다. 그래서 이
배양액
을 연골세포에 뿌리면 연골세포가 레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이 안에 있던 TGF-β1 유전자가 들어갈 수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에서는 바로 이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관계자는 “GP2-29 ... ...
기초연구 부족으로 상용화 속도 더딘 '인공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영양
배양액
은 증식되는 세포 집단과 증식의 재료가 되는 영양분을 뜻한다. 세포계와 영양
배양액
기술 개선을 통해 인공고기 세포 증식이 현재보다 더 원활하고 풍부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모즈디악 교수는 배양된 세포가 세포 조직 안에서 자랄 수 있는 기술의 진보도 거론했다. 현재 ... ...
술 마시면 오버하는 이유는 뇌를 자극하는 '이것'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유전자 조절이 쉬울뿐더러 알코올에 취하기까지 한다. 연구진은 알코올을 30% 섞은
배양액
을 마신 파리의 움직임을 추적했다. 30도의 술을 마신 파리는 마시지 않은 파리에 비해 같은 시간 동안 1.5배에서 2배 정도 더 긴 거리를 날아다녔다. 반면 PLD2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제거된 초파리는 알코올을 ... ...
말라리아 치료물질 '울릉도 토종 미생물'이 갖고 있다
연합뉴스
l
2018.12.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연합뉴스] 이를 바탕으로 희귀 방선균(Catenulispora sp. KCB13F217)
배양액
으로부터 4종의 신규 화합물을 찾아냈다. 새 화합물에는 희귀 방선균 속명을 따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 A∼D'(catenulisporolides A∼D)라는 이름이 붙었다. 생리활성 검정 결과 카테누리스포로라이드는 ... ...
사람 腸 모사한 미니칩으로 장염 원인 밝혀내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위에는 장 상피세포가 자리하고 아래에는 혈액의 면역세포가 자리한다. 각각의 채널에
배양액
과 장염 유발 물질 DSS 를 통과시키며 실험을 한다. - 사진 제공 김현중 교수 이번 연구는 장기칩을 이용해 질병의 발병 원인과 과정을 밝힌 세계 첫 사례다. 신 연구원은 “앞으로 환자 개인의 세포와 ... ...
초소형 로봇 몸 속 주입, 세포 원하는 곳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2
외부에서 자기장만으로 위치를 조종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렇게 완성한 마이크로로봇을
배양액
과 인체의 혈관을 축소한 ‘미세 유체칩’, 그리고 모델 생물인 물고기 제브라피시의 배아에 넣고 이동시키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생체에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은 채 혈관 등을 타고 이동해 원하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