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카피
사본
재생
재현
복원
재생산
뉴스
"
복제
"(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후유증 '브레인포그' 원인 밝힐까…뇌 감염 돕는 돌연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세포를 더 잘 감염시키기도 한다. 연구팀은 쥐를 코로나19에 감염시키고 뇌와 폐에서
복제
되는 바이러스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각각 분석했다. 뇌에서 발견된 바이러스에서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일부가 결손된 특정 돌연변이가 나타났다. 돌연변이가 일어난 바이러스를 뇌에 직접 ... ...
조류 독감이 사람에게 잘 전파되지 않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꼽히는 인플루엔자를 모니터링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복제
과정과 구조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 포유류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 돌연변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며 “이를 타깃으로 한 약물이 아직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조류 독감 치료제를 ... ...
"암 억제 단백질, 손상된 DNA 합성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PCNA의 탈유비퀴틴화를 억제했더니 생쥐 피부의의 DNA 손상이 증가됐다. DNA
복제
및 손상복구 과정이 어떻게 연동돼 유전체 안정성을 유지하는지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찾은 것이다. 강 연구위원은 “향후 ATAD5와 탈유비퀴틴화 효소 복합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고 그 생화학적 활성과 ... ...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인공 폐' 만들었다…바이러스 감염·
복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와 몰누피라비르가 감염된 상피층에 도달하는 경로와 바이러스
복제
를 억제하는 메커니즘도 재현했다. 2D 세포배양 방식에서는 약물을 상피세포에 직접 투여했으나 3D 모델에서는 약물이 인공 폐 조직을 통해 조직 장벽을 투과했다. 인체와의 유사성으로 치료제 효과와 적정 ... ...
40년 '과학동아' 표지로 과학기술 발전사 '한눈에' 본다
과학동아
l
2024.07.23
배치했다.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폭발, 1997년 인공지능 체스 챔피언, 2006년
복제
양 '돌리' 사망, 2016년 중력파 최초 검출 발표까지 당대의 가장 뜨거웠던 이슈를 산책하듯 걸으며 볼 수 있다. 각각의 표지 위에는 그해 '세계의 과학 이슈'와 '대한민국의 과학 이슈'가 구분돼 있다. KAIST가 대덕 ... ...
코로나19 '빠른 증식' 이유 찾았다…약물 재창출 가능성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형태를 유지하고 과도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상태를 유지해 코로나19 바이러스 대량
복제
에 기여했다. 연구팀은 EGFR 표적 치료제가 코로나19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실험으로도 증명했다. EGFR의 성장 신호 활성을 제어하는 폐암 치료제 ‘다코미티닙’, 갑상선암 치료제 ‘반데타닙’ 등 1 ... ...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접히는 '브리지(Bridge) RNA'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재조합효소는 어떤 유전자를
복제
해서 전파할 때 쓰이는 효소다. IS110의 한쪽 고리는 가이드 RNA와 유사하게 표적 DNA 염기와 결합하고 반대쪽은 치환할 염기가 담긴 도너DNA와 결합하는 유전자 교정 방식을 자연에서 찾아낸 것이다. IS110은 ... ...
"불가능으로 여겨졌던 양자컴 오류 수정 성공…상용화 앞당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증가시키면 상호작용이 생겨 원자들이 큐비트로 작동할 수 있다. 양자 상태는 측정·
복제
가 되지 않아 그동안 오류를 정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됐다. 루킨 교수팀은 여러 중성 원자들로 '논리적 큐비트'라는 구조를 따로 만들어서 양자 정보를 안정화(stabilize)하고 오류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 ...
담뱃잎으로 몸에 좋은 모유 성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사람에게 병을 옮기는 바이러스가 있지 않아서다. 유전물질도 없어 인체에 들어가도
복제
되지 않아 안전성이 높다. 연구팀이 니코티아나 벤타미아나에서 생산한 성분은 모유에 있는 올리고당 성분이다. 아기는 올리고당을 소화하지 못하지만 올리고당은 장내 세균의 먹이가 된다. 장내 건강한 ... ...
복제
기술로 다시 태어난 검은발족제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08
윌라는 다른 검은발족제비보다 3배 많은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었어요. 윌라의 세포를
복제
해 태어난 노린과 안토니아는 윌라와 DNA가 거의 일치합니다.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안토니아와 노린은 전염병이 퍼지는 등 환경이 바뀌어도 잘 적응할 확률이 높답니다. USFWS는 "검은발족제비의 개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