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래톱
작은 섬
뉴스
"
산호초
"(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보스포럼] "44년간 척추동물 60%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파괴를 지적했다. 그는 “이미 기후변화로 해양의 온도와 산성도가 급격히 높아지며
산호초
가 떼죽음을 당하고 1분마다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버려진다”며 “해양생물이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람베르티니 사무총장은 "WWF가 2018년 낸 '살아있는 행성' ... ...
2018년 네이처 선정 10대 인물에 그래핀 초전도체 개발한 22세 청년
2018.12.19
제시했다. 마송 델모트 수석연구원은 지구 온난화가 이대로 지속되면 12년 내로 지구
산호초
의 90%를 파괴하는 등 생태계를 위협할 것이라는 경고를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발표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빠른 행동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데이터로 보였다. ‘악동’으로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후보물질이 발견됐다. 수염상어는 보통 1~40m 사이의 수심에서 낮에는 주로 연안의
산호초
주변이나 모래 바닥 은신처, 맹그로브 나무의 뿌리 주변 에서 쉬다가, 밤이 되면 활동을 시작한다.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진이 면역질환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수염상어의 피를 뽑고 있다. ■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새 먹이사슬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변화로 극지방에선 해양 생물다양성이 줄어들고 저위도 지역에선 아름다운
산호초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바닷가에 사는 새들도 예외는 아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9일 둥지에 있는 알을 돌보느라 여념이 없는 붉은배지느러미발도요(Phalaropus fulicarius)의 모습을 표지에 ... ...
[여기에 과학]육지 척추동물 절반 사라졌다. 인간 때문에…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인간 영향에 대한 특별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상태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면 바다의
산호초
는 99%이상 사라지며, 극지 생태계부터 극적인 변화가 찾온다는 관측입니다. 이번에는 인간이 육지 생물들에게 미치고 있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세계자연기금(WWF)이 지난 31일 ‘2018 ... ...
트럼프 “기후변화 거짓말 아냐. 하지만 영향 오래 안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도 상승하게 될 것이며 2100년 말에는 최소 3도 이상 온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산호초
가 멸종하는 것처럼 열대지방과 극지방의 생물 다양성이 크게 위협받을 것이며, 물 부족과 농업 생산성 감소로 빈곤국의 기아 문제도 더 심각해질 것이란 결과가 함께 제시됐다. 하지만 트럼프 ... ...
일문일답으로 요약한 IPCC 1.5도 특별보고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0
빠르면 2030년 경에는 1.5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를 막지 못하면 우리 후손들은
산호초
를 볼 수 없을 것이다. Q. 이산화탄소나 다른 온실가스를 얼마나 줄여야 하는 가 A.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420억t)보다 45%이상 줄여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큰 ... ...
산업화 전보다 온도 1도 올랐다...IPCC "2030년까지 CO2 45%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높아진다. 하지만 1.5도로 제한하면 이보다 4~16㎝ 낮출 수 있다. 열대 바다에 존재하는
산호초
는 2도 상승할 경우 거의 모두(99% 이상) 사라진다. 하지만 1.5도만 오를 경우 70~90%만 없어질 것으로 예측돼 명맥이나마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여름철에 북극해 해빙이 녹아서 사라질 확률은 ... ...
해수면 상승 10㎝ 낮춘다…IPCC 1.5도 특별보고서 승인
2018.10.08
10년에 한 번 발생하지만 1.5도에서는 100년에 한 번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산호초
는 1.5도만 상승해도 70~90%가 사라지고 2도 상승할 경우 거의 모두(99% 이상) 사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온도 상승 제한 목표를 1.5도보다 공격적으로 내려야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 이유다. ... ...
[여기에 과학]지구온난화 맞서 1.5도 사수할 해양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제한하는 정책이 구체적으로 바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습니다. 한 예로
산호초
와 극지 생물군 보호 정책은 해수 온난화를 막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안선에서의 인간 활동을 제한하고 자연 생태계를 이식하는 정책은 해수면 상승을 막는 효과가 있다는 결과도 나왔습니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