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절
절기
시즌
어린시절
어린
철
철강
뉴스
"
시절
"(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정도로 달라졌다. 과학도 예외가 아니다. 물리·화학·생물학이 과학의 중심이었던
시절
은 끝났다. 대기과학과 기후학도 중요해졌고 컴퓨터과학은 더욱 중요해졌다.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인공지능'이 물리학의 새로운 영역이고 '빅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이 화학의 새로운 연구 방법이라는 ... ...
한국인 5명 중 1명 겪는다는 '불안애착' 관리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위한 감정 관리 장치(디바이스)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불안애착 성향은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며 성인이 되어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대인관계에서 자존감이 낮은 이들은 부정적 감정을 자주 느끼고 통제하기 어려워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높이며 이뤄졌습니다. 전류량이 2mA에 도달하자 이마가 저린(?) 느낌이 들었습니다. 학창
시절
쉬는 시간 책상에서 팔을 베고 자다 보면 일어날 때쯤 피가 통하지 않은 팔이 저릿한 적이 많은데 그 저릿함이 이마에서 느껴졌어요. 저주파 치료를 받을 때나 종아리에 쥐가 났을 때보다 훨씬 ... ...
[노벨상 2024] 자신이 토대 닦은 AI 위험성 경고한 '딥러닝 대부' 힌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이어가던 중 2023년 AI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며 퇴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
부터 뇌, 곤충 등에 큰 관심을 가졌던 힌턴 교수는 1970년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실험심리학 학사, 1978년 에든버러대에서 AI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인간의 인지심리학에 큰 관심을 두면서 인공신경망 ... ...
"암흑물질 'DFSZ액시온' 연구 2팀 중 한 팀은 한국…발견만 하면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연구위원. IBS 제공 이하 일문일답. Q. 액시온을 탐색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학창
시절
, 한국 출신 미국 물리학자인 이휘소 박사의 이야기를 듣고 입자물리에 푹 빠졌다. 이 박사의 사진을 주머니에 넣고 다닐 정도였다. 결국 2000년 고려대 물리학과를 졸업했고 2002년 동대학에서 같은 전공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
2024.10.05
있다. 근래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시절
마스크 쓰기를 권장하면 신체의 자유가 침해되고 마스크가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마스크 쓰기를 권장하는 것은 비도덕적이라고 이야기하던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 중 다수가 마스크를 쓰지 ... ...
러시아와 협력 종료키로 한 세계 최대 실험실…"한국 분담금 소폭 늘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내며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CERN과 대등한 협력 관계를 갖는 옵서버국인 러시아는 소련
시절
인 1967년 CERN과 협력을 시작했다. CERN은 2022년 6월에 전쟁을 일으킨 데 항의하기 위해 러시아와 그 동맹국인 벨로루시와의 협력 협정을 종료하기로 잠정적으로 합의했다. 벨로루시와의 계약은 6월 27일부로 ... ...
"위성 정보가 기업 투자 결정"…해양硏 나와 우주에 '올인'한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9.24
해양위성센터장을 지냈다. 어떻게 우주개발에 관심을 갖게 됐나. "어린
시절
부터 우주에 푹 빠져 있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과학잡지 '과학동아'에서 처음으로 달에 착륙한 유인 우주선인 '아폴로 11호' 이야기를 접하며 언젠가 우주에 닿고 싶다는 꿈을 가졌다. 꿈을 이루기 위해 연세대 ... ...
[추모의 글] 故 이진아 교수, 난치암 환자를 구하던 작은 거인
2024.09.23
제자 이상으로 친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이진아박사와 장철순 박사의 박사후연구원
시절
두 사람의 신혼여행지는 하와이처럼 아름다운 휴양지가 아니었습니다. 두 사람은 저와 함께 미국 유타에서 열리는 키스톤 심포지엄(Keystone Symposium)에 참가했습니다. 이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열정을 알 수 ... ...
세계적 난제 푼 수학 교사 출신 수학자 "지나치게 몰입하지 않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이해가 되는 그 과정 자체에 서서히 매료돼 갔다"고 밝혔다. 어려웠던 박사 과정
시절
지도교수인 제프 칸 럿거스대 교수의 위로가 가장 큰 힘이 됐다. 칸 교수는 연구실에서 "진영, 왜 수학을 너보다 훨씬 빨리 시작한 동료와 너를 비교 해?"라며 "빨리 결과를 내는 것보다 깊게 공부하는 게 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