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동
내부
밑바탕
밑
어림
속
하단
뉴스
"
아래쪽
"(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하늘이 일상으로 들어오다 에어택시
과학동아
l
2021.05.29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요소는 운전 미숙과 같은 인위적 요소고, 다음은 바람이 갑자기
아래쪽
으로 몰아치는 ‘마이크로버스트’였다. doi: 10.2514/6.2019-3628 황 단장은 “이런 위험 요소는 수십 년 간 헬리콥터의 진보를 위해 연구돼 온 주제”라며 “전천후 비행이 가능하려면 풍속 초속 15~20m에서 ... ...
[지구는 살아있다] 운봉산 돌무더기는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22
돌무더기가 내려앉으며 고랑처럼 쑥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 암괴류의
아래쪽
일수록 주상절리 조각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사실도 증거가 됩니다. 주상절리 조각이 얼음을 타고 내려가면서 서로 부딪혀 깨졌을 테니까요. 움푹 꺼진 암괴류는 빙하기 때 두껍게 얼었던 얼음이 녹아 ... ...
소아비뇨의학회 우수논문상에 한재현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4.29
국제학술지 ‘IC 비뇨기과학’에 발표했다. 요도하열은 요도의 입구가 정상 위치보다
아래쪽
에 생기는 선천 요로 기형의 하나다. 신생아 3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한다.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하는데, 수술 후 음경의 피부에 소변이 나오는 구멍이 생기는 요도피부누공이 부작용으로 발생한다. 이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
2021.04.29
비례해서 중력이 커진다. 탑승객의 질량 또는 지구의 질량이 늘어나면 탑승객은 그만큼
아래쪽
으로 당겨지는 힘을 더 크게 느낀다. 등가원리란 탑승객의 입장에서 엘리베이터가 위로 가속하는지 중력이 강해졌는지를 구분할 길이 없다, 즉 그 두 효과는 동등하다는 원리이다. 엘리베이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내부 표면을 분석해 추측한 뇌 형태를 보면 170만 년 전 이전은 모두 유인원형(주황색.
아래쪽
중심앞고랑(pci)이 관상봉합(CO)을 교차해 전두엽에 존재)인 반면 170만 년 전 이후 과도기 형태(회색)와 현생인류형(파란색)이 나오기 시작한다. 오른쪽 아래 DH3는 약 30만 년 전 살았던 호모 날레디로, 뇌가 ...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역사적인 비행 성공(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인저뉴이티는 한국 시간으로 2월 19일 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퍼시비어런스’의
아래쪽
에 실려 화성에 도착했다. 무게 1.8㎏, 높이 49㎝에 길이 1.2m 회전 날개 두 개를 장착하고 있다. 화성의 대기 밀도는 지구의 100분의 1 수준에 불과해 비행체가 날기 위해서는 지구에서보다 더 많은 동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멈출 수 있을까
2021.04.13
아민 탄소포집의 원리는 간단하다. 화력발전소의 배출 가스가 파이프를 통해 탱크
아래쪽
서 들어와 올라가고 탱크 위쪽에 연결된 파이프에서 아민을 20~30% 함유한 수용액 물방울이 분사돼 내려오면 둘이 만나며 이산화탄소가 아민 분자에 잡힌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기체가 탱크 위로 ... ...
11일 화성 하늘에 첫 헬기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4일(현지시간)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인지뉴이티가 화성 표면과 10cm 떨어진 퍼시비어런스
아래쪽
에서 분리돼 동력 비행을 위한 터치다운을 완료했다”며 “다음 단계는 야간에 살아남는 것”이라고 밝혔다. 인지뉴이티는 무게 1.8kg에 가로 13.6cm, 세로 19.5cm, 높이 16.3cm 크기로 티슈상자 만하다. ... ...
주변 물질 삼키고 에너지 내뿜는 블랙홀 자기장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분석됐다. 이를 통해 에너지를 양쪽 방향으로 강력하게 뿜어내는 '제트'를 만들어낸다.
아래쪽
나선형의 밝은 선들은 블랙홀 주변의 자기장과 연관된 편광의 방향을 직접 보여주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 과학자들이 참여한 국제 연구진이 우주의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고 ... ...
다리 8개 달린 물곰 100마리가 우주로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박상영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큐브위성 '티몬(
아래쪽
)'과 '품바'는 두 대가 함께 날며 태양의 바깥 대기층인 코로나를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연세대 제공 하지만 두 위성이 이런 팀워크를 발휘하려면 넘어야할 산이 있다. 두 위성은 소유즈 발사체에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