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울
뉴스
"
얕은 곳
"(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풀장으로 날아온 상어
팝뉴스
l
2017.09.24
왔다가 기겁했다. 풀장에 상어 한 마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상어는
얕은
물에서 서서히 헤엄치면서 사람들이 들어오기는 기다리는 것 같았다. 물론 저런
곳
에서 수영을 즐길 용기를 가진 이는 없었다. 사진은 호주의 바닷가 풀장에서 촬영된 사진이라고 한다. 바다가 치면서 바로 옆에 있던 풀장으로 ... ...
애플파크, 그리고 스티브 잡스
2017.09.14
본관이 보입니다. 그리고 그 건물 사이는
얕은
야산처럼 나무와 풀로 뒤덮여 있습니다. ... 자연 채광을 중요하게 여기고, 통풍을 위해 문을
곳곳
에 마련해 둡니다. 1층은 현재 특별히 뭔가가 채워지진 않았습니다. 실제 극장은 아래 층에 있습니다. 계단을 돌아서 내려가면 아래에 다시 널찍한 홀이 ... ...
멸종위기 산호발견, 한국에도 산호가 많았던 때가 있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9.13
지난 10일에도 국립공원관리공단이 남해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무인도 3
곳
에서 멸종위기 2급인 유착나무돌산호 16 군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 형성하는 돌산호가 살기 어렵다 산호초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의
얕은
바다에 산호의 분비물이나 뼈가 쌓여 수 천년에 걸쳐 생성되는 단단한 암초 ... ...
北핵실험 증거 ‘방사성 기체’ 검출, 찾을 수 있을까
2017.09.08
영향으로 분화구처럼 깊게 파인 흔적이
곳곳
에 보인다. 지하 깊숙한
곳
에서 실험을 진행할 ... 원인은 지반 붕괴다. 핵폭발로 상부의 지반(
얕은
산등)이 떠올랐다가 다시 내려앉으면서 땅이 흔들려 새로운 지진이 일어났다는 설명이다. 기상청 역시 비슷한 견해를 냈다. 2차 지진을 ‘함몰지진’으로 ... ...
함몰지진? 암반파열? 늘어나는 북핵 2차 지진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9.05
기상청은 이 인공지진이 6차 핵실험 위치에서 남동쪽으로 약 7km 떨어진
곳
에서 발생한 규모 4.4의 ‘함몰지진’이라고 밝혔다. 함몰지진(spall)은 ... 큰 폭발이 일어난 뒤에 뒤따라 일어나는 지진으로, 주로 실험의 충격으로
얕은
산 등 바로 위의 지형이 위로 살짝 들렸다가 주저앉으며 아래로 ... ...
[북핵 팩트체크 – 남은 의문들(1)] “의문의 2차 지진파… 방사성 기체 포집 가능성 높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도허티관측소 교수는 “큰 지하 핵실험의 경우 핵폭발물 상부의 물질(
얕은
산)이 폭발로 약간 떠올랐다가 다시 내려 않으면서 붕괴가 일어나는 ... 그 주변의 터널(출구가 있는 굴)이나 갱도(막힌 굴) 중 지반이 약한
곳
이 무너져 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핵실험 장소의 위성 사진. 5차 ... ...
[카드뉴스] 선홍빛 자태의 특별한 맛 참돔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색소포가 확장돼 몸빛깔이 검습니다. 참돔의 몸
곳곳
에는 청록색 반점이 박혀있는데요. 전문가들은 ... 먼 바다의 암초지대에 살다가 산란기인 4~6월경
얕은
바다에서 알을 낳습니다. 치어는 늦가을에 남쪽으로 떠났다가 이듬해 봄 서서히 북상을 시작합니다. 참돔 :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가 검다. 다 ... ...
음식을 강탈하려는 너구리와 지키려는 여성
팝뉴스
l
2017.03.08
해외 동영상 사이트에서 화제가 되었다. 촬영지가 어디인지 정확한
곳
은 알려지지 않았는데, 북미 지역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사람들이
얕은
물에서 카약을 타고 있다. 이때 너구리 한 마리가 한 여성이 앉아 있던 서핑 보드를 향해 빠르게 접근한다. 노를 이용해 막으려 했지만 음식 냄새를 맡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조사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해초가 밀집해 사는
곳
은 다른 지역보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내구균(Enterococcus)의 수가 ... 낮았다. 해초는 남극 대륙을 제외하고 지구의 모든 대륙붕(수심 200m 이내
얕은
바다)에 산다.
얕은
바다의 수질을 개선하고 물고기 서식지를 제공해 사람이 ... ...
[카드뉴스]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동아사이언스
l
2017.02.15
생길 수 있죠. 흔히 '조용한 익사'로 불리는 '
얕은
물 블랙아웃'도 위험합니다.
얕은
물 블랙아웃은 산소가 필요하다는 신호를 ... 나타났습니다. 질소 마취는 깊고 압력이 높은
곳
에 잠수할 때 질소가 농축된 공기 때문에 신경에 이상이 생기는 증상인데요. 그다지 압력이 높지 않은 20m까지만 잠수하는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