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뉴스
"
응용
"(으)로 총 2,880건 검색되었습니다.
-196~600℃까지 극한 온도에도 성능 유지하는 '하이퍼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짧은 시간에 급격한 온도 변화가 일어나는 로켓, 항공기 엔진이나 자동차 산업에
응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김형섭 친환경소재대학원·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저온과 고온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는 합금 소재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월 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즈 ... ...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연구원으로 승격…우주·국방 전략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이창열 고등광기술연구원 광기반원천연구부장, 강철 고등광기술연구원 광
응용
시스템연구부장, 성재희 고등광기술연구원 초강력레이저연구부장, 기성근 고등광기술연구원 경영지원팀장 인사가 발령됐다. 현재 고등광기술연구원장은 고도경 GIST 물리·광화학과 교수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尹 파면 후 과기정책 표류…연구자 중심 '글로벌협력' 고려해야
2025.04.09
쏟아져 들어오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IUPAC(국제순수및
응용
화학연합)이나 IUPAP(국제순수및
응용
물리학연합)과 같은 국제기구에 우리 과학자의 참여를 강화하는 것이 더 현실적일 수도 있다. 남의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것을 가르치는 국제협력도 필요하다. 선진국과의 국제협력도 중요하지만 ... ...
그래핀으로 빛 세기 따라 투명도 변하는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특히 그래핀 분산 콜로이드 조성물은 광 관련 부품 및 AI
응용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소재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16/j.compositesa.2024.10869 ... ...
현택환 IBS 단장, 美 일리노이대 국제 동문 공로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의 부편집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1년 국제 순수·
응용
화학연합(IUPAC)과 유네스코가 선정한 '100명의 화학자' 중 한 명으로 뽑혔고 클래리베이트 선정 피인용 우수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로 2014년부터 매년 선정돼 왔다. 현 단장은 "저를 이 자리에 있게 해준 모교에서 ... ...
커피믹스 양산 공법
응용
해 고용량 이차전지 전극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있다. KE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커피믹스 등을 대량 생산하는 공법인 분무 건조 방식을
응용
해 고용량 이차전지 전극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황인성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팀이 한국재료연구원(KIMS)과 공동 연구를 통해 고용량 이차전지 구현을 위한 '분무건조 ... ...
마인크래프트에서 스스로 '다이아몬드' 찾은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로봇이 현실에서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일반화해 자연스럽게 대응하는 '피지컬AI' 기술에
응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니야르 하프너 구글 딥마인드 연구원팀은 드리머가 사람의 개입 없이도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다이아몬드를 스스로 찾아내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2일(현지시간) ... ...
준입자 '폴라리톤' 정밀 제어 성공…광기반 양자소자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조창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왼쪽), 최현서 박사과정생. 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양자정보 소자에 유망한 후보 물질인 '폴라리톤'의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광 기반 양자소자에 활용될 수 있어 양자컴퓨터나 양자통신 등 양자기술 ... ...
4월 과학기술인상에 오준학 서울대 교수…차세대 광센서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때문에 학제 및 연구팀 간 협업이 핵심요소였다"며 "학문적 발전뿐만 아니라 산업적
응용
을 통해 실제 기술로 연결될 때 연구의 가치와 의미가 더욱 커진다는 것을 느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3-05877- ... ...
[과기원NOW] KAIST, 머리카락보다 1000배 얇은 나노섬유로 탄소저감용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권위가 더욱 높다. 김철홍 교수는 '다중 매개변수 및 다중 모드 광음향 영상 연구 및 임상
응용
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았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유승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는 브롬 기반 레독스 슈퍼커패시터(Redox EC)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