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콜릿의 역사'…아마존 카카오, 언제 어떻게 중남미로 퍼졌나
연합뉴스
l
2024.03.08
테오브로마 카카오 샘플의 유전자 정보를 사용해 도자기에 남아있는 고대 카카오나무의
조상
을 규명, 고대 카카오나무 종의 다양성이 어떻게 증가하고 확산했는지 밝혀냈다. 그 결과 고대 카카오나무는 적어도 5천년 전에 아마존 유역에서 경작되기 시작한 직후 태평양 연안을 따라 퍼지면서 ... ...
"네안데르탈인, 혼합 접착 물질로 석기 손잡이 만들어 사용"
연합뉴스
l
2024.02.22
접착 물질을 네안데르탈인이 독자적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현대 인류 이전
조상
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인지와 문화를 이루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도구 조각을 붙이는 데 사용된 접착제 같은 고대 재료는 초기 현대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인지 능력과 문화를 ... ...
인간의 이족 보행 단서는 '반고리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나무에선 이족보행, 땅에선 사족보행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인류
조상
은 광범위한 이동 기술을 가지고 있었고 이후 이족보행을 하는 형태로 갈라져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족보행을 하는 유인원이 갈라져 나온 것은 기후 변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약 230만 년 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포트투갈과 시베리아 사이, 노르웨이와 이란 사이에 거주했던
조상
들의 유전자 분석도 진행 중이다. 다발성 경화증 뿐만 아니라 당뇨병이나 조현병 등 현대인이 앓고 있는 질환의 유전적 뿌리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고대인 유골서 자가 면역질환·당뇨 치료 단서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그들의 이동 경로에서 마주쳤던 농부들이 전멸된 흔적이 발견된다. 오늘날 북유럽인
조상
대부분은 얌나야족으로 추정되며 남쪽으로 갈수록 초기 수렵·채집인의 유전자가 많이 남아있다. ● 얌나야족 ‘다발성 경화증’ 위험 높이는 변이 보유...당시 이점으로 작용 연구팀은 고대인이 ... ...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PNAS)'에 발표했다. 현생인류와 같은 종으로 분류되며 인류의 직접적인
조상
으로 불리는 '호모사피엔스'는 약 15만 년~ 30만 년 전 처음으로 지구상에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인류학계는 화석, 인공물, DNA 등을 바탕으로 호모사피엔스가 약 3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진화했다고 추정한다. ... ...
빅뱅 5억 년 후 초기 은하는 '바나나' 모양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평평한 원반형이다. 판다야 박사는 "초기 은하의 질량을 보면 우리은하의 '
조상
격'이라고 할 수 있다"며 "원반 형태인 우리 은하도 훨씬 전엔 초기 은하처럼 길쭉한 형태였을 수 있다는 사실을 짐작해볼 수 있다"고 추론했다. 초기 은하와 현대 은하의 모습이 다르게 생긴 이유에 대해 ... ...
'그곳'의 털이 더 곱슬인 이유 찾는 과학자…"코팅 소재 개발할 것"
과학동아
l
2023.12.31
확산시키는 데 곱슬한 털이 유리하다는 설명도 있다. 그밖에 인간이 고릴라와 같은
조상
으로부터 갈라져 나왔음을 증명하는 것이 곱슬한 음모라는 가설도 있다. 고릴라와 침팬지의 털을 비교했을 때 고릴라의 털은 침팬지의 털보다 거칠고 곱슬거린다. 이는 인간의 음모와 비슷하다. 그런가 ... ...
침팬지, 25년 이상 못본 동료 얼굴 알아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비슷한 기억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인간과 유인원이 수백만 년 전 공통
조상
으로부터 갈라져 나왔을 것이란 점을 시사한다. 유인원도 인간처럼 관계성을 중요하게 생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 대한 장기 ... ...
네안데르탈인은 '아침형 인간'이었다…"생체리듬 유전자 이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습관을 추정한 연구 결과를 1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GBE'에 발표했다. 현대 인류의
조상
인 고인류는 약 70만 년 전 여러 혈통으로 갈라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안데르탈인 계통은 아프리카대륙에서 유라시아대륙으로 이주했고, 이들은 지금으로부터 약 40만 년 전 다시 두 종으로 나뉘었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