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뉴스
"
지층
"(으)로 총 25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구동토층에 묻혔던 '좀비 바이러스' 깨어났다..."전염력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내놨다. 번식력이 살아있는 일명 '좀비 바이러스'가 깨어났다는 것이다. 영구동토층은
지층
의 온도가 연중 섭씨 0도 이하인 토양층을 일컫는다. 지구온난화로 영구동토층이 녹는 현상이 가속화되며 여기에 묻혀있던 수 많은 미지의 바이러스가 깨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프랑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올도완 석기를 만든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올두바이의 보이세이와 하빌리스는 발굴
지층
으로 봐서 동시대에 살았을 것이고 실제 훗날 연대측정 결과 화석의 주인공들은 약 180만 년 전 살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올도완 석기는 온전히 하빌리스의 유산으로 여겨졌고 보이세이는 강력한 ... ...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반면 수도권에는 중생대
지층
이 거의 없죠. 강원도에는 중생대
지층
이 아예 없고 고생대
지층
만 있어요. 그래서 대부분 중생대에 살았던 동물의 발자국 화석은 남해안 쪽에서 발견되는 거예요." Q. 우리나라에서 뼈 화석보다 특히 발자국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이유가 뭘까요? 임종덕 "첫째, ... ...
[탄소중립 최전선] ⑤전세계 기술실증·탄소저장 프로젝트 급증...한국은 시작도 못해
2022.10.26
급증하는데 한국은 시작도 못해 CCS는 대기에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하고 바다 밑
지층
이나 땅 속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탄소를 다른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포집활용(CCU)’을 합쳐 흔히 CCUS라 부른다. 탄소(Carbon)와 포집(Capture), 활용(Utilization), 저장(Storage)의 앞 글자를 딴 것이다. 아이슬란드 ... ...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구상이다. 탄소를 활용한 지열에너지 생성법은 먼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지층
에 파이프를 통해 탄소를 주입한다. 밀려 내려간 탄소는 열을 생산한다. 이렇게 발생한 열에너지는 다른 표면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된다. 탄소를 이용한 지열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 ...
[탄소중립 최전선] ②땅 밑 저장한 탄소 움직임도 분석...산업화 이끄는 호주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8
배출을 13% 줄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CCUS는 대기에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하고 바다 밑
지층
이나 땅 속에 저장하는 ‘탄소 포집저장(CCS)’ 기술과 탄소를 다른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포집활용(CCU)’ 기술을 합친 것이다. 탄소(Carbon)와 포집(Capture), 활용(Utilization), 저장(Storage)의 앞 글자를 땄다. ... ...
2년 전 지구 떠난 화성탐사선...홍수·유기물·오로라 흔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약 3~10m 지표면을 관측하는 데 유리한 반면 저주파 레이더는 지하 100m까지 조사할 수 있어
지층
구조를 분석할 때 주로 활용된다. 관측 결과 약 10~30m 깊이와 30~80m 깊이에 위치한 지역에서 독특한 반사 신호를 보내는 패턴을 발견했다. 천링 중국과학원 지질지구물리연구소 연구원은 "두 지역의 ... ...
공룡멸종 소행성, 규모 9.1 수마트라 지진 5만배 대지진 유발
연합뉴스
l
2022.10.07
고르고닐라섬 현장 조사 때 '텍타이트'(tektite)라는 작은 유리구슬과 조각으로 형성된
지층
을 발견했는데, 소행성 충돌에 따른 강한 열과 압력으로 지각의 바위 등이 녹아 대기로 솟구쳤다가 식으면서 천연 유리가 돼 다시 땅에 떨어지며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다. 칙술루브에서 약 3천㎞ 떨어진 ... ...
[과학게시판] 지질연, 탐사연구선 탐해3호 용골거치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탐사가 가능하다. 6km 길이의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 8조를 탑재했다. 시간에 따른 해저
지층
의 변화를 탐지하고 예측하는 4D 모니터링 기술이 적용돼 해저자원 탐사의 효율성을 높였다. 2023년 4월에 바다에 처음 띄워질 예정이며 2024년 건조완료 및 시운전을 거쳐 공식 취항할 계획이다. 본 임무인 ... ...
3억8천만년 전 심장 3D로 간직한 원시어류 '희귀' 화석 발굴
연합뉴스
l
2022.09.16
이 화석들은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킴벌리 지역의 '고고(Gogo)층'에서 발굴됐는데, 이
지층
은 데본기의 암초 지대로 판피류 이외에 다른 화석들도 많이 발굴돼 왔다. 심장을 비롯한 연조직(soft tissue)은 뼈나 이빨과 달리 화석으로 보존되기 힘든데 이 화석들은 평면 흔적이 아닌 3D 형태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