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뉴스
"
튜브
"(으)로 총 384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튬배터리 에너지밀도 극대화하는 3차원 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가벼우면서도 리튬 이온과 친화성이 높은 고분자 물질인 '폴리비닐 알코올'과 탄소 나노
튜브
(tube)·구(sphere)를 활용해 하이브리드 다공성 구조체를 개발했다. 배터리 속 리튬 이온은 연구팀이 개발한 다공성 구조체 틈새로 이동하며 배터리를 급속으로 충전하는 상황에서도 리튬 금속 음극에 ... ...
고온의 굴뚝 미세먼지 실시간 측정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14
통해 응축에 의한 물방울 형태의 액적 생성을 최대한 억제했다. 많은 구멍이 뚫려있는
튜브
에 공기를 주입해 미세먼지의 벽면 부착도 최소화했다. 한방우 도시환경연구실장은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정확한 농도와 크기 분포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최초의 ... ...
'좀비마약' 펜타닐, 소량도 감지하는 센서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분자를 센서에 적용하자 펜타닐은 펜타닐 항체와 결합된 금나노입자와 반응해 탄소나노
튜브
로 전류가 흐르도록 만들었다. 전류의 변화를 통해 펜타닐과 다른 오피오이드를 구별할 수 있으며 실험 결과 91%의 식별 성공률을 보였다. 다른 약물이 펜타닐로 오염됐는지 확인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 ...
기도 이물질, 부작용 없이 제거하는 내시경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기관지 이물질 제거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기관지 이물질 제거에는 얇고 유연한
튜브
끝에 카메라와 조명, 물체를 집을 수 있는 가느다란 겸자 기구 등이 장착된 연성 기관지 내시경이 사용된다. 의료진이 양손을 써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하고 내시경과 겸자에 ... ...
니켈·코발트 없이 에너지밀도 40% 높인 리튬이온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1
제성능을 낼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망간 기반 DRX 전극 제조 시 다중벽 탄소나노
튜브
를 사용해 DRX 양극재의 낮은 전자전도도를 보완하고 충·방전 간 부피 변화를 견딜 수 있게 하자 전극 내 양극재 비율을 96%까지 끌어올려도 전자 전달 네트워크와 전지 성능이 열화되지 않았다. 니켈, ... ...
한번 삽입으로 1년 이상 작동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고분자 광섬유를 병합했다. 먼저 탄소나노
튜브
섬유가 한 방향으로 배열된 탄소나노
튜브
시트 전극을 활용해 신경세포 활동을 효과적으로 기록했다. 이어 광 전달을 담당하는 고분자 광섬유에 이를 감아 머리카락 크기의 다기능 섬유를 제작했다. 이렇게 제작된 섬유는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 ...
‘질소’ 담은 단일벽 탄소나노
튜브
로 이차전지 음극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효과적으로 첨가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개발된 질소도핑 단일벽 탄소나노
튜브
를 리튬이온전지 음극재에 적용해 리튬이온이 실리콘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충전 속도를 높였다. 충·방전 주기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개발한 복합음극재의 외부를 우수한 전기 전도성 ... ...
태양빛 받아 항해하는 우주 돛단배 24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가벼운 유연한 폴리머와 탄소 섬유 소재로 만든 새로운 붐을 개발했다. 새로운 붐은
튜브
모양으로 납작하게 뭉쳐 줄자처럼 말아서 작은 패키지로 만들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적다. 태양광 돛은 돛단배가 바람을 잡기 위해 방향을 바꾸는 것처럼 돛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로를 조정한다. ... ...
가볍고 유연한 '탄소나노
튜브
섬유', 에너지 저장 33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줄로 제작했을 때도 구부림, 접기, 세척 후 잘 작동됐다. 정현수 책임연구원은 “탄소나노
튜브
섬유는 우리가 보유한 원천기술과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크지 않아 경쟁력이 있는 분야”라며 “비정형 에너지 저장 핵심 소재로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미국서 장기 이식 건수 드라마틱하게 늘어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관류하는 장치는 2021년 말에 승인 받았다. 이 장치는 혈액이나 산소가 함유된 액체를
튜브
를 통해 기증된 장기의 혈관으로 흘려보낸다. 관류된 기관의 세포는 계속 기능하기 때문에 의사는 해당 기관이 수혜자의 신체에서 유지될지 여부를 더 잘 평가할 수 있다. 관류술 확산이 불러온 가장 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