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말
기포
물방울
뜬 찌꺼기
물거품
수포
물집
스페셜
"
거품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
IBS
l
2015.11.16
인류가 중성미자의 베일을 벗겨온 스토리에 귀기울여보자. 1970년에는 중성미지가 수소
거품
상자에서 처음 포착되기도 했다. - Argonne National Laboratory 제공 중성미자는 1930년경 오스트리아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가 불안정한 원자핵이 베타붕괴를 할 때 에너지와 운동량이 보존되지 ... ...
['고리 1호기' 특집(4)] 다 쓴 원전, 안전하게 해체한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관련 연구의 진척도가 빨라서
거품
형태의 제염액을 개발하는 데 성과를 거두고 있다.
거품
형태는 표면적을 크게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벽면에 도포해도 흘러내리지 않아 수직으로 세운 용기의 벽면도 쉽게 제염할 수 있다. 원자로 해체에 필요한 로봇 작업 역시 ICT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상당한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gist에서 나왔는데 이 말은 ‘끓는다’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왔다. 술이 발효될 때
거품
이 부글부글 일기 때문이다. 한편 프랑스어로는 levure, 독일어로는 Hefe인데 둘 다 어원은 ‘들어 올리다’는 뜻이다. 빵 반죽을 부풀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효모의 실체는 모호했기 때문에 세계 최초의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문명을 돌아볼 때 금성 대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인류가 수플레(달걀흰자로
거품
을 내 몇몇 재료를 섞어 오븐에 구워낸 요리)가 만들어질 때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른다는 건 유감스러운 일이다. - 니콜라스 쿠르티,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학과 교수 얼마 전 끝난 ‘삼시세끼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휠러는 이러한 현상에 ‘양자
거품
’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수프를 끓일 때 여기저기서
거품
이 올라 터지듯 평평해보이는 빈 공간에서 입자들이 쉴 새 없이 나타났다 사라지며 출렁인다는 점에 착안한 이름이다. 물론 입자들의 요동이 실제 냄비 속의 수프처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요동은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이용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좋은 빵 vs. 나쁜 빵 물리학의 관점에서 빵은 고체
거품
으로 80%가 공기로 이뤄져 있다. 빵은 글루텐과 효모의 위대한 공동작품이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지난 2006년 ‘잡식동물의 딜레마’를 출간하며 주목을 받은 저술가 마이클 폴란의 최신작 ‘요리를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발달시켰다. 쉽게 말해서 우리 몸은 수십 조개의 액체
거품
(속이 채워진)이고
거품
막이 세포외기질인 셈이다. 콜라겐은 3중나선 구조로 국수가닥을 연상하면 되는데, 따라서 이대로라면 기저막에 깔아도 튼튼하지 못하다. 따라서 콜라겐 사이에 화학결합이 일어나 서로 엮이면서 거대한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
KISTI
l
2014.04.10
고정공기를 만들어낸 뒤 이를 물에 녹였더니 상큼한 맛을 내는
거품
이 발생했다. 그는
거품
이 생긴 물이 발포주를 만드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공기로 선원들이 앓는 괴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물론 그 생각은 틀렸다. 그렇지만 그의 이 실험은 청량음료 산업의 시초인 탄산수를 ... ...
[실험]폴리우레탄의 변신! 우레탄 셰이크 만들기
KISTI
l
2014.03.26
끝난 뒤 단단해진다. 단단해지기 전에 장식물을 끼워야 하기 때문에 두 용액을 섞은 뒤
거품
이 컵의 절반가량 부풀어 올랐을 때 빨대를 끼운다. 너무 늦게 끼울 경우 용액이 딱딱하게 굳어서 들어가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색깔이 있는 모형을 만들고 싶다면 두 용액을 섞은 뒤 색소를 몇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구조색으로는 머리를 감을 때나 설거지를 할 때 일어나는
거품
의 막에서 언뜻언뜻 보이는 무지개색으로 역시 간섭효과 때문이다. 맑은 날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도 일종의 구조색으로(대기에 파란색 색소분자가 떠다니는 건 아니므로), 햇빛 가운데 주로 짧은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