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뼛골
뼛속
척수
치수
골
수
주요부
스페셜
"
골수
"(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씨름하고 있었다. 특정한 유형의 DNA 손상을 복구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고장 나
골수
에 있는 조혈줄기세포의 염색체가 손상을 입어 피(혈구)를 제대로 못 만들어 생기는 빈혈인데 문제는 DNA를 손상시키는 약물에 노출이 되지 않아도 발병한다는 것이다. 오랜 노력 끝에 연구자들은 판코니 빈혈이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있다. 암이 생길 위험이 적어 치료제 개발이 가장 활발하다.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나 혈액 등 우리 몸 곳곳에 소량씩 존재하는 줄기세포다. 배아줄기세포처럼 모든 조직으로 분화하는 능력(만능성)은 없지만, 여러 조직으로 분화하는 능력(다분화능)을 가지고 있다. 무릎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반응하는 진단시약을 사용하면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암을 진단할 수 있다. 만성
골수
백혈병의 경우에는 ‘bcr-abl 융합유전자’가 바이오 마커 역할을 한다. 이 융합유전자가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느냐의 여부로 백혈병을 진단하게 된다. 심근경색도 트로포닌이라는 바이오 마커를 이용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에이즈를 일종의 만성질환으로 격하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윌리엄 폴(William Paul)이 급성
골수
성백혈병으로 지난 9월 18일 뉴욕 맨해튼에서 사망했다. 1936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폴은 브루클린대를 거쳐 뉴욕주립대 다운스테이스의학센터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1962년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교수팀은 역시 자가면역질환인 류머티스관절염의 치료제인 토파시티닙(tofacitinib)과
골수
섬유증의 치료제인 룩솔리티닙(ruxolitinib)이 원형탈모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의학’에 발표했다. 당시 연구자들은 이들 약물이 면역계인 T세포와 인터류킨-15가 관여하는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또한 심장은 신장과는 달리 사람마다 단 한 개뿐인데다가, 부분 이식이 가능한 간이나
골수
와는 달리 전체가 모두 이식 돼야 하기 때문에 생체 이식이 불가능하다. 게다가 심장은 아직 박동이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만 이식이 가능하기에 대부분의 사체 기증자들은 심장 기증자가 될 수 없다. 즉,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아이)에서 발생하는 급성 T세포 림프구성백혈병과 매우 비슷했다. 이런 유형의 백혈병은
골수
에서 세포경쟁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은 결과임을 시사하는 발견이다. 줄기세포가 흉선에 오래 머물면 왜 암세포로 바뀌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능력이 모자란 것도 서러운데 이를 따뜻하게 감싸주지는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
IBS
l
2014.07.09
글리벡에 대해 내성을 극복하는 치료제로서 개발 연구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만성
골수
성 백혈병이 발병하는 원인 중 90% 이상이 BCR 단백질의 이형융합에 의한 ABL 키나아제의 비정상적인 활성으로 알려져 있다. 표적 항암제로 각광받았던 글리벡은 ABL 키나아제 저해제로 개발됐다. 하지만 2003년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3.13
상태에서 백혈병에 걸려
골수
이식을 받은 뒤 역시 완치됐다. 알고 보니 이식받은
골수
가 만드는 세포에는 HIV가 면역세포에 감염할 때 인식하는 표면단백질인 CCR5수용체가 없다는 게 밝혀졌다. 2009년 학술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에 브라운의 사례가 발표되면서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유전자치료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면역학, 그 가운데서도 항체를 연구한 노이버거는 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의 암인
골수
종에 걸려 사망했다. 그가 진단을 받고 쓴 메모에서 삶과 죽음의 페이소스가 느껴진다. “35년 동안 실험실에서 항체를 괴롭혔더니, 이제 이 녀석들이 병원에서 나한테 복수를 하려고 하는군.” 20. 레오나드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