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본형
으뜸꼴
원형
선천성기형
선천성
불구
ABNOMALITY
스페셜
"
기형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도 배상 판결···제초제 성분 글리포세이트 끊이지 않는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발암추정물질(두 번째 등급)로 분류했다. 폐암이나 림프종, 체내 호르몬 교란, 태아
기형
아 발생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근거를 들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글리포세이트가 암 등을 유발한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지 않아 안전성 여부에 대해서 여전히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달에는 프랑스에서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임신 중 고혈당, 20년 내 당뇨병 확률 최대 50%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임신 20주 이후, 또는 출생 후 28일까지의 사망률)이 증가한다. 박 교수는 “태아의 선천성
기형
의 위험성을 결정하는 시기인 임신 초기에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출산 후 20년 이내 당뇨병 확률 최대 50%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신체 부위가 이 면적에 비례하게 만든 사람 모형이 바로 감각 호문쿨루스로 상당히
기형
적인 형태다. 11년 동안 팔과 소통이 끊긴 원숭이 뇌의 체감각피질에서 손을 담당하는 영역은 예상대로 손을 흔들어도 발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무심코 얼굴을 건드리자 강하게 발화했다. 물론 얼굴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자리 부근에는 형태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여럿 분포했고 돌연변이가 생겼을 때 안면
기형
이 되는 유전자들도 있었다. 흥미롭게도 양안 간격이나 코 관련 두 가지 특성은 곡률을 분석해 찾은 얼굴에서 유전성이 큰 부분과 겹친다. 아무튼 유전성이 큰 부위에 작용하는 유전자들의 실체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입증했다고 주장해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초파리에서 Hsp90에 문제가 생기면
기형
개체들이 나오는데, 린드퀴스트는 여기에 어떤 패턴이 있음을 간파했다. 즉 임의의 돌연변이가 아니라 이미 존재했던 변이가 드러난 것처럼 보였다. 린드퀴스트는 문헌을 조사했고 영국의 저명한 생물학자인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네 명을 소두증으로 진단했다. 소두증은 태아시기에 머리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생긴
기형
으로, 사르노 교수는 1년에 대여섯 건을 보는 정도였다. 소두증인 아기는 발작과 발달지체, 학습장애, 운동장애 등을 보이고 심할 경우 사망한다. 놀랍게도 이런 현상이 브라질 곳곳에서 일어나 2015년 1 ... ...
가전제품 전자파 얼마나 나올까?
KISTI
l
2015.11.21
화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 정자 수 감소, 여성의 경우 생리 불순 및
기형
아 출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가전제품 30cm 떨어져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아 국립전파연구원은 주요 가전제품 52개 품목의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해 2013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다리가 난 변이체였다. 그런데 이런 형태는 일반적인
기형
과는 좀 다르다. 즉 보통
기형
은 불완전한 기관이나 조직이 생긴 결과이지만 이 경우는 완벽한 다리가 다만 엉뚱한 자리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공사 인부의 잘못이 아니라 설계도에 문제가 있었다는 말이다. ‘안테나페디아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않았지만 임산부가 입덧을 완화하기 위해 복용한 결과 손발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기형
아가 수만 명 태어나면서 신약개발의 역사에서 최악의 사례로 꼽히고 있다. 반면에 인공감미료 사카린의 경우는 생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방광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판매금지가 됐지만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꽃구조의 차이로만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식물 변태론으로 이끈 계기가 된
기형
꽃을 피우는 장미가 기생 박테리아의 농간으로 만들어진 좀비 식물이라는 사실을 괴테가 알았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