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보
형벌
처벌
들
죄
위약금
반칙금
스페셜
"
벌
"(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논문이 실렸다. 독액을 방어용으로 쓸 경우 상대를 고통스럽게 하는 게 좋은 전략이다.
벌
에 쏘였을 때도 꽤 아픈 이유다. 지네 독액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성분을 찾은 결과 아미노산 27개로 이뤄진 펩티드인 RhTx가 주범인 것으로 드러났다. RhTx는 고온을 감지하는 온도수용체인 TRPV1에 달라붙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
2018.07.28
보인다. 슬픈 현실은 맛있는 걸 먹었을 뿐인데 부끄러움에 몸을 떨고 나쁜 말로 자신에게
벌
을 내리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는 것. 정말 내 몸이 문제였을까? 나 역시 오래동안 멀쩡한 내 식욕과 몸을 미워해왔다. 하지만 어느 순간 사실 나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음을 깨닫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안료를 토해냈을 때 대식세포가 바로 보충되지 않게 할 수 있다면 안료가 배출될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일이 빨리 이뤄져 경솔한 문신으로 인한 맘고생이 좀 줄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
2018.02.10
불행을 겪는다는 소외감과 억울함, 큰 잘못을 저지르면서 살았던 것 같지는 않은데 괜한
벌
을 받는 것 같다는 억울함 등 알 수 없는 억울함과 분노, 피해의식 등이 나를 괴롭히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건강한 것이 당연한가?’라는 질문을 던져보았다. 바깥에서 잘 보이지 않을 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
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명쾌히 규명할 수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즉 사람의 수정란을 유전자편집으로
벌
거숭이두더지쥐화 한다면 극단적으로 노화 속도가 지연되는 신인류가 탄생할지도 모른다. 영화 ‘가타카’의 설정이 현실이 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서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매년 팔리는 청바지는 40억
벌
이 넘는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도 대부분 청바지 한두
벌
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청바지의 놀라운 성공 요인 가운데 일등공신이 바로 물 빠짐이다. 파란 염료로 물들인 데님이라도 물이 빠지지 않는다면 청바지가 아니다. 그리고 청바지 특유의 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가끔 일어나는데(O형이나 특히 Rh-형 같은 경우) 이때 혈액대체제라도 있으면 며칠은
벌
수 있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곤충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행동의 유연성”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일을 해낸 뒤영
벌
만큼이나 이런 실험을 고안한 연구자들도 똑똑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정교해지고 법치가 확립되면서 비율이 떨어졌지만 지금도 지구촌 수십 곳에서 분쟁이
벌
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보노보의 전략을 택할 수 없는 인류로서는 어떤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까. 드 발 교수는 앞에 인용한 말처럼 인간 정신의 유연성에서 희망을 찾고 있다. 즉 인간은 ... ...
화를 내면 화가 풀릴까?
2016.09.20
기회를 주었다. 상대방이 자기보다 못하면 헤드폰을 통해 귀가 얼얼할 소음을 들려주어
벌
을 주는 것이었다. 참가자들은 소음의 세기와 지속시간을 직접 조작할 수 있었고 연구자들은 이를 참가자들의 공격성을 보여주는 척도로 삼았다. 이와 같은 실험을 다섯차례 한 끝에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