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사이"(으)로 총 2,4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2024.02.10
- 도움 행동이나 희생적인 행동에 있어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잘 보이려고 많은 애를 쓰지만 그만큼 그 행동이 좋은 결과를 내지 않을 것에 대한 ‘걱정’과 ‘망설임’이 크기 때문이다. 속으로만 치열하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2024.02.07
-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10권), 《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식물은 어떻게 작물이 되었나》가 있다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2024.02.04
- 닮기를 원한 이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기원전 약 400년 경부터 기원후 약 100년 사이에 히포크라테스를 기리며 의학을 공부한 학자들이 책을 쓰면서 당시 가장 명망높은 학자라 할 수 있는 히포크라테스 이름을 붙인 것이 오늘날 '히포크라테스 전집'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오늘날과 같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2024.02.03
- 가지고 있을 것 같지도 않다. 결국 이들은 현실과 다르게 자의식만 높아서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갭을 줄이기 위해 여러가지 편법을 써야만 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실제로 주변 사람들의 인정과 존경, 영향력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 위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2024.01.24
-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10권), 《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식물은 어떻게 작물이 되었나》가 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동아사이언스 l2024.01.13
-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포트투갈과 시베리아 사이, 노르웨이와 이란 사이에 거주했던 조상들의 유전자 분석도 진행 중이다. 다발성 경화증 뿐만 아니라 당뇨병이나 조현병 등 현대인이 앓고 있는 질환의 유전적 뿌리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1.11
- 근감소증과 대표적인 심혈관 위험요인인 대사증후군인 복부비만, 이상지질혈증, 당대사이상, 고혈압 각각의 조합을 통해 심혈관질환 및 사망률 위험도에 어떠한 연관성을 미치는지 확인했다. 분석 결과 근감소증이 개인의 비만이나 대사 건강 상태에 관계없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과 심혈관계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2024.01.03
- 절기인 대한(大寒. 양력 1월 21일)에서 새해의 두 번째 절기인 우수(雨水. 양력 2월 18일) 사이에 온다. 푸른 용의 해인 갑진년의 설날은 2월 10일이다. 고종 황제가 을미개혁(1896년)으로 오늘날 ‘양력’이라고 부르는 ‘그레고리력’을 도입하고 ‘건양’(建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2023.12.27
-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10권), 《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식물은 어떻게 작물이 되었나》가 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2023.12.23
- 제작한 다음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난자를 만들어 생물학적으로 두 마리의 아빠 쥐 사이에서 새끼를 얻는 데 성공했다. 일리야 수츠케버 미국 오픈AI 수석 연구원도 선정됐다. 수츠케버 연구원은 챗GPT와 이를 뒷받침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환경문제에 기여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