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산맥"(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이어지던 어느 추운 날, 러시아 시베리아의 알타이산맥에 위치한 데니소바 동굴에서 13세의 어린 소녀가 세상을 떠났다. 5만 년 뒤, 손가락만 한 뼛조각만 남은 이 소녀의 주검을 발굴해 연구한 과학자들은 깜짝 놀랐다. DNA를 추출해 해독한 결과, 부모가 서로 다른 종의 인류라는 사실을 발견했기 ... ...
- 공룡인가, 도마뱀인가.... 2억 4000만 년 전 도마뱀동아사이언스 l2018.06.03
- 발견해 분석한 연구다. 티아고 시모스 캐나다 앨버타대 연구팀이 이탈리아 알프스 산맥에서 발견했다. 연구팀은 고해상도 미세초점 단층촬영과 유전자 분석을 이용해 연령을 측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doi:10.1 ...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동아사이언스 l2018.03.16
- 서남부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Homo neanderthalensis)’, 그리고 2008년 시베리아 알타이 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데니소바인 (Denisovan)’ 등이 대표적이다. 약 5만년 전 멸종했다는 네안데르탈인, 그로부터 1만년을 더 살다가 떠난 데니소바인까지 이들 세 종은 꽤 오랜 시간 함께 생존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코너 이름에 맞게 커피의 과학을 다뤄볼까 한다. 에스프레소 베이스 커피의 양대산맥 (표현이 너무 거창한가?)은 카푸치노와 라테인데 둘은 우유와 우유거품의 양이 꽤 다르다. 즉 카푸치노는 우유가 적고 거품이 많은 반면 라테는 우유가 많고 거품이 적거나 없다. 필자는 진한 커피맛과 함께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선을 그려야 할 것이다. - John D. Croft 제공 ● 데니소바인이 주인공? 2008년 러시아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약 4만 년 전 인류(아이)의 손가락 마디뼈 하나가 나왔다. 당시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해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던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스반테 페보 박사팀은 뼈를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가진 진핵생물로, 염색체도 여러 개인 더 복잡한 유기체다. 인공생명체 분야 양대 산맥인 두 단체의 연구엔 원핵/진핵 외 다른 차이도 존재한다. 크레이그벤터연구소는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게놈만 갖춘 ‘최소 합성 유전체’를 찾고 있다. 이를 위해 유전자 901개, 염기쌍 107만794 ... ...
- 우리보다 한발 앞선 스위스 그림젤 연구소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4
- 밝혔다. 고준위폐기물 실험에 최적의 장소로 알려진 그림젤연구소가 위치한 알프스 산맥은 조산활동이 활발해 땅이 매년 수mm씩 올라오거나 깎이고 있다. 미래를 생각하면 그림젤연구소가 안전한 곳이라고 볼 수 없다. 그래서 스위스는 이곳을 후보지로 고려하지 않았다. 스위스에는 ... ...
- [COOKING의 과학] 땅 속의 사과, 감자!KISTI l2015.10.04
- 잘 먹는 것이 필요하다. 감자는 약 7천 년 전 페루 남부에서 재배되기 시작해 안데스 산맥에서 잉카인들의 식량이었다. 그 후에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유럽과 전 세계로 퍼져나갔고, 현재는 전 세계인들이 사랑하는 작물이 됐다. 처음 유럽 사람들은 이 감자를 관상용의 정원 식물로 키웠으며 ...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아나톨리 데렌비안코로부터 쌀알 두 개 크기인 작은 뼈조각을 하나 받았다.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한 인류의 뼈(아마도 어린아이)였다. 2009년 12월 3일 미국의 한 학회에 참석 중인 패보 박사는 전화를 받고 깜짝 놀랐다. 시료(불과 30밀리그램!)에서 DNA를 추출해 미토콘드리아의 게놈을 ... ...
- 역사의 상흔과 영웅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09
- 부대 남부군의 일대기를 실화를 바탕으로 해서 구성하고 있다. 조정래 대하소설 을 임권택 감독이 1994년에 영화화했다. 이러한 90년대 한국전쟁영화들은 체험자의 수기와 기록을 바탕으로 만든 소설을 빌어 만들어낸 영화였기에 전쟁영화 주인공의 영웅상을 배출하기보다는 이야기의 ...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