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스페셜
"
알
"(으)로 총 1,40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AI가 질병 유발 유전자 변이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9.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빨간색과 파란색의 블록으로 이뤄진 인간의 모습을 묘사한 그래픽을 실었다. 표지 왼편에는 '병을 ... 대체됐을 때, 영어에 능숙한 사람이 대체된 단어가 문장의 의미를 어떻게 바꿀지 여부를
알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생물학적 메커니즘들이 존재한다는 증거들도 점차 쌓여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경험이 유전적으로 세대간 전달된다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은 프랑스 박물학자 장 바티스트 라마르크이다. 그는 용불용설(用不用說; Theory of Use and Disuse)이라는 가설을 내세워 모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발생이 증가한 생활습관병을 해결가능하게 해 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한다. 미래는
알
수가 없지만 현재를 통찰하면 미래 예측이 완전히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현대의학이 인류의 건강을 위해 더 밝은 미래를 전해 주기를 기대한다. ※ 참고문헌 1. Time Magazine Special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
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사이키델릭 약물들도 그동안 잘
알
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작동기전을 통해 닫혀있던 학습의 결정시기를 열고 새로운 학습과 기억을 만들어내어 PTSD와 같은 기억 관련 장애를 치료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아직 국내에서는 여러 위험성 및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생김새도 멋있고 경제성도 있지만 심각한 문제가 하나 있다. 봄철 꽃가루로 인한
알
레르기는 일본인 10명 가운데 4명이 시달리는 국민병으로 ‘일본삼나무꽃가루증’이라는 병명을 따로 만들었을 정도다. 숲·임산물연구소(FFPRI)가 주도한 일본 공동연구팀은 지난 21일 학술지 ‘사이언티픽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동위원소란 핵이 불안정하여 방사성 붕괴를 하는 원소를 가리키며 이렇게 붕괴될 때
알
파선(alpha ray), 베타선(beta ray), 감마선(gamma ray)이 발사된다. 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 어쩌다 한 번 방사선을 맞는 경우는 상관이 없지만 영상의학과에 근무하면서 매일 방사선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장기간 과용하면 비만과 당뇨를 오히려 유발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꿩 먹고
알
먹고’라는 말이 있지만, 내 경험으로는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고 마주하는 상황 대부분은 ‘세상에 공짜는 없다’ 또는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 법’이라는 말이 더 와닿는 선택의 연속이다. 칼로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
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절대로 어려운 문제를 회피하고 무책임하게 현실과 거리를 두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알
아주었으면 한다. 연구자들도 자신의 연구에 너무 매몰된 나머지 자신의 연구가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지 설명하는 것을 잊으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약 20여년 전 박사과정 학생으로서 바다달팽이 신경계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