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자
계집
여인
숙녀
여성
스페셜
"
암컷
"(으)로 총 8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벌레 신경세포의 연결망 'WWW'
동아사이언스
l
2019.07.06
완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5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예쁜꼬마선충은 자웅동체 혹은
암컷
은 302개, 수컷은 385개의 뉴런을 가져 인간의 수십억 분의 일 수준으로 단순한 신경망을 갖고 있다. 하지만 신경망이 인간의 신경계와 같은 분자로 구성돼 있어 예쁜꼬마선충을 통해 인간의 신경망을 ... ...
간세포에 숨어든 말라리아 생존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27일자에 발표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균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
암컷
에 물렸을 때 감염되는 전염병이다. 모기에게 물리고 나서 오한,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수 주~수 개월이 걸린다. 그 동안 말라리아 원충은 간세포로 들어가 세포막으로 보호주머니를 만들고 그 안에서 수 천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놈 프로젝트, 반추동물의 비밀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사이언스’는 2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림포포주의 마푼구베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암컷
스틴복영양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스틴복영양은 지구상에 가장 널리 퍼진 포유류종인 반추동물 중 하나다. 반추동물은 위 속에 넣어둔 먹이를 입으로 되올려 다시 씹어 소화하는 ‘되새김질’을 하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잘 클로닝해서 유전자 제거 배아세포를 만들었다고 해도, 그 세포를 잘 관리해서
암컷
생쥐의 자궁에 착상시키는 일을 망치면 모든 일이 물거품이 된다. 게다가 이 착상과정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너무 빈번해서 대부분의 실험실은 착상만을 전문으로 하는 기술자를 쓰거나 아예 회사에 이 과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종들이 나오고 있다. 다른 예로 꽃이 벌처럼 생긴 난(early spider orchid)이 있다. 이 난을
암컷
으로 착각해 짝짓기를 하려다가 꽃가루받이를 해주는 어리석은 수벌이 딱 한 종(학명 Andrena nigroaenea) 있다. 원래는 수벌이 나올 무렵 꽃이 피기 때문에 속여먹을 수가 있는데 지구온난화로 벌의 등장 시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놀라지만 어느 순간 원리를 깨닫고 이를 활용한다. 독일 오스나브뤼크동물원에서 살았던
암컷
오랑우탄 수마는 거울 앞에서 양배추 잎을 머리에 얹어 치장하며 시간을 보냈다. 프란스 드 발이 그린 그림이다. ‘플로스 생물학’ 제공 1970년 미국 툴레인대 심리학과 고든 갤럽 교수는 학술지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모습. Paul Macro 지난 1월에는 사진작가 폴 마크로가 파란색 플라스틱 그물이 목에 감긴
암컷
물범 사진을 찍어 화제가 됐습니다. 그물은 강하게 물범의 목을 휘감고 있었고, 이로 인해 물범은 질식사할 위기에 놓여 있었죠. 폴 마크로는 보호단체에 구조를 요청했지만 결국 구조에는 실패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
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새끼보다 1.7배 더 높았다. 반면 무리에서 동시에 양육되는 새끼가 없을 경우 나이든
암컷
의 새끼라도 사망률이 더 높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번식투쟁이 높은 사망률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여성들이 50세 전후에 폐경기를 겪지만 마지막 출산의 평균 나이가 38세(자연 상태에서 임신을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독특한 생물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물고기지만 배에 지느러미가 없고, 수컷이
암컷
의 알을 수정받아 새끼를 낳는다. 중국 과학원(CAS)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해마의 전체 유전자를 해석해 해마가 이런 특성을 갖게 된 원인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약물, 수족관 등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종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DNA 염기에 변이를 일이키는 약물인 ENU를 처리한 수컷 생쥐와 정상
암컷
사이에서 태어난 8000마리가 넘는 새끼들의 수면 시간과 뇌파를 일일이 조사해 이 가운데 이상을 보이는 개체들을 찾아냈다. 먼저 수면 시간이 대폭 늘어난 변이체들로, 연구자들은 이에 ‘슬리피(Sleepy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