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스페셜
"
이후
"(으)로 총 4,6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변환할 수 있는 로봇 수술 시스템이다. 최초의 실용적인 원격수술 시스템이 사용된
이후
로 로봇 시스템은 점점 더 진화하고 있으며 미래에 그 활용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Clifford A. Pickover. The Medical Book: From which doctors to robot surgeons, 250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Medicine. Sterling New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나
2024.05.22
근거'다. 정부가 강조한 '과학적 근거'가 절망적으로 부실했던 것도 사실이다. 2022년 5월
이후
의료계가 참여하는 '37차례'의 논의를 거쳤고, 고령화 등에 의해 10년 후에는 1만 명 이상의 의사가 부족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는 일방적인 주장이 고작이다. “통계와 연구를 모두 검토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출산과 수유, 유대에 관련된 신호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 대다수는 5억5000만 년 전
이후
등장한 '현대 유전자'로 주로 뇌와 근육에서 발현된다. 진화의 관점에서 모성애와 부부애 관련 옥시토신 신호 경로는 최근 만들어진 것이다. 3억 년 전 포유동물이 진화하면서 새끼에게 젖을 먹일 동안 애착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수준이라 가산점을 얻어 선정된 게 아닐까. ● 맛있는 정제 음식이 주범? 2차 세계대전
이후
지구촌의 부와 권력을 독점하면서 풍요로워진 미국은 비만이 보건 문제가 되기 시작했고 그 원인을 밝혀 해결책을 제시했다. 바로 지방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지방은 칼로리 밀도가 높고 무엇보다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등 고인류 화석이 발견되며 인류의 역사를 앞당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시는 발견
이후
할리우드 스타급 인기를 누렸다. 루시를 보기 위해 박물관에 줄을 서는 일이 비일비재했으며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을 때 시간을 내어 루시를 관람했다는 건 전 세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4년 예고제'를 무시한 명백한 파행이다. 1981년 국보위 시기의 혁명적인 졸업정원제
이후
조령모개(朝令暮改)식으로 뜯어고쳤던 대입 제도의 임의적 개편에 따른 수험생의 혼란을 최소화하겠다고 1995년 5·31 교육개혁에서 처음 도입한 제도가 '예고제'다. 수험생들은 중학교 3학년 때 예고된 제도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
2024.03.23
사랑을 주고받는 경험을 풍부하게 해 온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이후
에도 사랑을 주고 받음에 있어 어색함이나 두려움이 없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애착 형태를 안정 애착이라고 한다. 반면 과거의 상처나 기타 여러가지 이유로 안정 애착을 형성하지 못한 ... ...
[과기원NOW] 이희재 DGIST 동문, 포브스 코리아 30세 미만 30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의 함량을 적절히 낮춘 저요오드 해조류라는 개념과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후
금준호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공동대표 등 DGIST 출신 학생들과 함께 2019년 스타트업 '씨위드'를 창업했다. 씨위드는 배양육의 세포를 고정하는 스캐폴드 및 세포 증식에 필요한 영양 공급용 배양액을 해조류로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융합기술개발 882억원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5.4) 여진들에 지진 횟수가 많았다. 지난해 규모 3.0 이상 지진은 16회로 마찬가지로 1999년
이후
연평균 10.4회 보다 많았다. 규모가 2.0 미만으로 사람은 잘 느끼지 못하고 지진계에만 감지되는 '미소지진'은 706회로 전년 708회과 비슷했다. 지난해 최대 규모 지진은 5월 15일 오전 6시 27분께 강원 동해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후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 헌혈을 하러 갔다가 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1986년
이후
영국에서 광우병에 걸린 소가 여러 마리 발견되었으므로 혹시나 영국에서 먹은 쇠고기에 들어 있던 프리온이 내 피 속에 들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때는 이미 광우병이 세균이나 바이러스같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