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지"(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써도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는 이들에게2023.01.07
- 크게는 희생, 작게는 다양한 불편함을 요구한다.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는 인지적 정서적 노력, 장애인 이동권 시위에서처럼 수십년간 지켜지지 않았던 누군가의 권리를 위해 몇 분의 불편함을 감수하는 것, 때로는 불의의 피해자들과 함께 목소리를 내고 맞서 싸우는 것 등 선한 삶을 ...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2022.12.30
-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2022.11.29
- 알츠하이머병이 생기지 않는다. 결국 APOE3이나 APOE2을 지닌 사람은 나이가 들어서도 인지력의 저하가 심각하지 않았고 그 결과 손주들을 돌보며 생존에 도움을 준 결과 점차 비율이 늘어나 오늘날에 이르게 됐다. 그런데 논문을 보다가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됐다. APOE4 변이형이 알츠하이머병 ...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2022.11.25
-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 ...
- [일상 속 뇌과학] 자면서 짧게 뒤척일 때 기억이 정리된다2022.11.05
-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지탱해주는 '누군가'의 존재2022.10.29
- 돌아오면 어딘가 내 자리가 남아있을 것임을 넌지시 일러주는 것들은 내가 어떠한 사람인지보다 주변인들이 물어오는 안부인사나 걸어오는 대화 같은 것들이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을 때에도, 오늘 밖에서 무엇을 먹었고 뭘 했는지 알려주고 심지어 미국까지 맛있는 것을 보내주기도 ... ...
- [친절한 클리닉] ② 비만 치료의 최선은 '예방'..."다이어트, 금연보다 어려워"2022.10.29
- 무엇인지, 남성형 혹은 여성형 비만인지, 나이, 사회경제적 환경, 국소비만인지 전체비만인지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전문의와 상의한다.” Q. 어떤 약물이 인기인가. “현재 전세계 비만치료 시장은 원래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된 삭센다가 점령하고 있다.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음식이 소화되는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편식 강요하는 무늬만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2022.10.12
- 학생들에게 필요한 진정한 선택권은 ‘쇠고기’를 먹을 것인지, ‘생선’을 먹을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꼭 필요한 것은 반드시 가르쳐야 연합뉴스 제공 교육은 학생들이 미래를 위한 다양한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다.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두에게 잘 할 수 없는 이유 2022.10.08
- 셜록 홈즈처럼 열심히 탐정놀이를 한다. 이는 주의력, 논리력, 추론능력 등 매우 고등한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과정들로, 다른 동물과 달리 인간의 뇌가 유독 발달한 이유 역시 이런 '사회생활'을 잘 해내기 위해서라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이를 사회적 뇌 가설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밥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2022.09.24
- 연구에 의하면 특히 도움을 '주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이러한 어려움의 존재를 잘 인지하지 못하고, 따라서 도움 요청 확률을 효과적으로 늘리지 못하는 편이다.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멘토 또는 상사' 또는 '신입 직원'의 관점으로 잘 모를 때면 꼭 도움을 요청하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읽게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