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시
심야
밤중
한밤중
한밤
미드나이트
자방
스페셜
"
자정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새벽 2시에 자서 아침 10시에 일어나는 습관을 가진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사람이
자정
넘어서까지 잠이 안 온다고 해서 불면증이라고 볼 수 있을까. 그렇기 때문에 불면증을 치료하려면 그 사람이 몇 시에 자서 몇 시에 일어나고, 하루 총 몇 시간을 자는지 생활패턴을 먼저 체크해야 ... ...
DGIST에 도대체 무슨일이…전임 총장들부터 IBS연구단까지 비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중심으로 터지면서 과학계에서는 다양한 소문이 쏟아지고 있다. DGIST 내에서 학내
자정
능력이 작동한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학내 구성원간 불화가 계속해서 불씨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개인간의 불화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감사를 받고 있는 이들과 공통적으로 불화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있다. 예를 들어 평소 밤 11시쯤 잠드는 사람이 저녁에 커피를 마시면 수면압력이 떨어져
자정
을 한참 넘겨서야 잠이 든다. 다음날 일 때문에 억지로 깨면 피로가 덜 풀린 상태이지만 모닝커피를 한잔 마시면 정신이 맑아져 낮에 졸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밤이 되면 카페인이 거의 분해됐고 깨어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경우가 많아 이런 용어까지 있었다고 한다. 옛날에는 대체로 잠이 일찍 들었기 때문에
자정
무렵이나 새벽에 깨는 일이 관행이 된 것 같다. 이 기간을 ‘첫 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전 두세시 쯤 깬 뒤 잠이 안 와 한참을 책을 읽다 다시 잠자리에 드는 날이 많은 필자는 늘 마음이 무거웠는데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두 개가 보고되면서 수면의 유전학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수면곡선의 한 예로
자정
부터 오전 6시30분까지 잠의 기록이다. 깨어 있다가 비렘수면의 1단계로 들어가는 선잠을 시작으로 비렘수면이 점차 깊어지고 다시 얕아지다 어느 순간 렘수면(빨간색)이 나타난다. 잠자는 동안 이런 ... ...
['고리 1호기' 특집 (1)] 한수원 김현준 안전점검 차장 “고리 1호기에 바친 땀과 열정"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뚫듯이 수많은 과학인과 기술인들의 땀과 열정으로 이룬 대업이었다. 하지만 이제 그
자정
과 청렴의 의지도 한 방울의 물이 바위를 뚫듯이 함께 이어져야 한다. 부산 사직동에 사는 그는 5시 40분 집에서 나와 운동을 하고 7시 사무실에 출근한다. 하루 일과를 미리 검토하고 남는 시간엔 기계와 영어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가장 심할 때는 음주 후 12~14시간 뒤로 보통 다음날 아침에서 점심 사이에 해당한다.
자정
넘게 과음한 사람은 본인뿐 아니라 회사를 위해서도 휴가를 내는 게 바람직한 이유다. 흥미롭게도 숙취가 최악일 때 혈중알코올농도는 0에 가깝다. 숙취의 진전과 관련된 이런 패턴은 아세트알데히드도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부랴부랴 소독액에 담근 뒤 사건을 보고했다. 안절부절하며 6일을 보낸 11월 11일
자정
무렵, 체온이 갑자기 올라가면서 플랫은 오한을 느꼈다. 전자현미경으로 혈액을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가 존재했다. 당국은 즉시 인근 코페츠우드병원으로 플랫을 격리시켰고 입원환자 160명은 영문도 모른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이와 비슷한 과정을 겪었을 것이므로 뒤늦게나마 소개한다. 이야기는 2008년 10월 6일
자정
무렵 미국 애리조나 레몬산천문대에서 시작한다. 당시 지구에 근접하는 천체를 관측하고 있던 천문학자 리처드 코왈스키는 이날도 평소처럼 여명까지 관측한 데이터를 소행성센터(MPC)에 보내고 잠을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교란되면 감기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지금 필자가 감기기운을 느끼는 것도 지난 밤
자정
을 넘겨가며 감기바이러스 논문을 읽느라 무리한 결과가 아닐까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