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스페셜
"
저장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정연의 닥터스] "복용 약 이력 알려주고 믿을만한 건강 동영상도 추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위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접목시켰다. 리터러시M은 단순히 개인의 의료기록을
저장
하는 것에서 나아가 환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돕는다. 이를 위해선 검증된 의학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의약품 정보의 경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의약품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맥도널드에서 음식을 주문하거나 이를 먹으면서 얻었던 긍정적인 음식 외 정보들이
저장
되고 떠올려지기 때문일 것이다. 새로운 신경회로망이 밝혀졌지만 남아 있는 의문도 남아 있다. 음식 자체에서 유래한 특정 신호가 이번에 밝혀진 신경회로망을 통해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섭취한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자라는 나무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줄기나 가지와 같은 바이오매스 형태로
저장
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생명공학기술은 형질과 관련된 유전자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매우 효과적이면서 신속한 육종 전략을 제공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드러났다. 광합성 과정에서 수분을 잃기 쉬운 덥고 건조한 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따로
저장
할 수 있게 진화한 C4 식물은 이 과정에서 탄소12를 선호하는 능력을 잃어 C3 광합성 식물에 비해 탄소13의 비율이 높다. 덥고 건조한 방향으로 기후가 바뀐 동아프리카에서 C4 식물이 번성했고 이를 먹고 ... ...
[과기원은 지금] 강정구 KAIST 교수팀, 폐수→암모니아 전환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하는 효소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개미산은 수소
저장
체나 연료전지 개발에 쓰인다. 연구는 탄소중립 실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바이오엔지니어링 앤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지난달 5일자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연료 측면에 더해 비료의 가능성을 얘기하고 있고 아울러 같은 호 논문에서 분석한 탄소
저장
수단으로서의 경제성도 언급하고 있다. 사설에 따르면 과거에는 해안이 있는 많은 나라에서 해조류를 천연비료로 썼다고 한다. 해조류에는 질소와 인은 물론 각종 미네랄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2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속 마그마의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마그마가
저장
된 장소, 마그마의
저장
과 상승의 시간 척도, 마그마 근원에서 지표로 가는 경로 등 요소가 중요한 지표로 활용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발명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작물화와 가축화가 진행되면서 씨나 지방 같은
저장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며 야생 동식물보다 미네랄 농도가 약간 떨어졌겠지만 큰 문제는 아니었다. 그런데 도정 기술이 발전하며 낟알의 속껍질을 벗겨내자 주식에서 얻는 미네랄 양이 급감했고 설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질소 같은 다른 영양 성분은 부족하면 증식이 어려우므로 대신 세포 내에 PHA를 많이
저장
해 훗날을 도모한다. 실험 결과 질소와 탄소의 공급비가 1:100일 때 PHA를 가장 많이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HA의 합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 네트워크를 건드려 합성 관련 유전자 네 개의 발현량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내장 훤히 보이는 유리개구리의 은신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2.25
유리개구리는 몸을 투명하게 만들고 싶을 때 혈액 속 대부분의 적혈구를 제거해 간에
저장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 델리아 미국 자연사박물관 연구원은 "유리개구리는 본질적으로 적혈구를 시야에 숨겨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며 "이들은 낮 동안 거의 호흡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리개구리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