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스페셜
"
점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세레브럼이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음압과 물 입자의 움직임을 비교한다는
점
을 발견했다. 사진에서 물 입자는 스피커가 소리를 보내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이때 물고기 머리뼈의 귓속 좌우에 들어 있는 감각모가 물 입자의 움직임을 느끼고 대략 어느 쪽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알 수 있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2024.07.06
바운더리 안에서 밀려나게 되고 힘 없이 자신이 배척당할 순서를 기다리게 된다. 이런
점
에서 사회 구성원들이 다름을 자연스럽게 포용하는지의 여부는 곧 사람들이 안정성과 행복을 느끼는 기반이 되고 그 사회와 모두의 자산이 된다. 다름을 포용하자는 주장을 놓고 뜬구름 잡는다고 보는 시각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환자들이 생활방식을 바꾸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
이다. 한 연구에서 보건 교육자의 후속 조치와 의사의 체계적인 상담이 표준 치료만 받은 대조군에 비해 주간 걷기 운동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11%만이 지시된 식이요법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
2024.06.29
고통, 특히 '외로움' 같이 고질적인 사회적 고통은 각종 건강 지표를 악화시킨다는
점
에서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있어 '받아들여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 다시금 상기시키는 발견이다. 식욕 못지 않게 사회적 욕구가 강한 인간에게 사회적 고통과 관련된 지표가 몸에 새겨져 있다고 해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인상이 완벽한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2024.06.22
후회했던 사람들의 고백에서처럼 처음에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상당히 잘 속인다는
점
이다. 나르시시스트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초반에 이미지 메이킹을 잘 하며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자신감있어 보이고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Back et al., 2010). 첫인상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2024.06.15
가능성이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경향이 꽤 많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는
점
에서 나 또한 여기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안다. 앞으로 더 조심해야겠다. 특히 주변 사람들이 내 말을 잘 듣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 내가 틀렸거나 또는 그냥 서로 의견이 다를 가능성을 생각해 봐야겠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장
점
' 발견하면 나도 행복해진다
2024.06.08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타인의 작은 장
점
도 발견하는 눈을 갖게 되면 그만큼 자신의 장
점
도 더 많이 알게 될 것 같다. 또한 내 주변 사람들의 멋짐을 알게 되면 괜히 뿌듯하기도 하고 나도 꽤 괜찮은 사람일 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서로 은근히 깎아내리고 서로의 불행을 기뻐하며 살기보다 ... ...
[과기원NOW] KAIST, 세포막 간 상호작용 매개하는 '지질 뗏목'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수상작을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제출된 작품 187
점
은 전문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쳐 47
점
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수상작은 GIST 캠퍼스 내 다목적 건물 오룡관 내벽에 조성한 전시 공간인 '오룡아트홀' 3층에 이달 30일까지 전시된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박주선 GIST 발전후원회장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의 둥지에 알 낳는 뻐꾸기, '종분화'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새를 잘 속이는 뻐꾸기 계통이 새로운 종으로 진화하는 종분화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는
점
을 확인한 것이다. 생존에 유리한 계통이 새로운 종이 된다는 것이다. 킬너 교수는 “군비경쟁을 하는 두 종 모두 종분화가 일어날 수 있다”며 “진화적 군비경쟁은 새로운 종의 출현을 야기하고 지구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수술 시스템이다. 최초의 실용적인 원격수술 시스템이 사용된 이후로 로봇 시스템은
점점
더 진화하고 있으며 미래에 그 활용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Clifford A. Pickover. The Medical Book: From which doctors to robot surgeons, 250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Medicine. Sterling New York. 2012 Paul J Choi, Rod J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