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밀"(으)로 총 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은 지금] DGIST 연구팀, 혈액 속 암세포 자동 분리장치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2.06.17
-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암세포들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초정밀 암 진단을 위한 기반 기술로 병원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테라노스틱스에 지난달 1일 공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6일 신약개발회사 ‘펠레메드’가 ... ...
- 누리호 23일까지 발사 가능할까...과거 발사연기 때는 어땠나동아사이언스 l2022.06.16
- 오류 수정에 최소 3일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오류 수정에 차질이 빚어지거나 정밀점검 과정 중 추가로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공존했다. 다행히 오류 수정을 무사히 마치고 최초 발사 예정일 4일 뒤인 8월 23일 발사대로 재이동했다. 나로호는 해외에 통보한 발사 예비일 마지막날(26일)을 하루 앞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2022.06.16
- 유리와 렌즈 제작자로 명성을 날리게 된다. 프라운호퍼의 광학기기는 당시의 수준에서 초정밀한 태양 스펙트럼을 관찰가능하게 했고, 그는 태양 스펙트럼에 324개의 검은 선이 있다는 점을 밝히기도 했다. 이 선에는 ‘프라운호퍼 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의 기여로 별에서 오는 빛을 ...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④ GPS 신호로 우주에서 대기 관찰하는1 초소형위성 '스누글라이트-2'동아사이언스 l2022.06.15
- ) 누리호에는 GPS를 이용해 지구대기를 관측하는 큐브위성 ‘스누글라이트-2’가 실린다. 정밀 GPS 수신기 3대와 자세결정 모듈, 광학카메라를 갖춘 이 위성은 기창돈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했다. 스누글라이트-2는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30cm인 성인 남성의 팔뚝보다 조금 굵은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나씩 밝혀지는 핵막공복합체의 비밀동아사이언스 l2022.06.12
- 교수 연구팀은 핵막공복합체를 극저온 전자 단층 촬영 기법으로 촬영했다. 이 기법은 정밀한 단일 분자로 이뤄진 원시 세포 환경에서 거대 분자 구조와 공간 조직을 분석하고 분자의 상 분리를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수준까지 들여다 볼 수 있다. 연구팀은 핵막공복합체의 ... ...
- 누리호 두 번째 도전, 맨 앞자리엔 '이들'의 꿈도 함께 실린다동아사이언스 l2022.06.10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스누글라이트-2’는 오차가 수㎜에 불과한 정밀한 위성항법시스템(GPS)을 활용해 대기의 대류와 전리 현상을 연구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오현웅 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스텝큐브-2’는 크기가 어른 상체에 해당하는 ... ...
- 자기장으로 혈관 속 시술 기기 조정하는 중재시술 시스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2.06.09
- 로봇이 자기장 방향에 따라 정렬하는 원리를 이용해 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와이어를 정밀 제어할 수 있다. 90도 각도 이상으로 3차원으로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돼지를 대상으로 동물실험한 결과 가이드와이어를 심혈관 내 목표 위치까지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음이 확인됐다. 자기장으로 ...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이 구인난에 빠졌다2022.05.27
- 교수는 같은 심포지엄에서 “노동력 공급에 대한 우려가 실존하고 있다”면서 “특히 정밀제조 분야에 공급 부족이 심각하다”라고 했다. 그는 공급 부족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젊은 엔지니어들의 우주산업 기피현상을 지목하며 “이들을 우주산업으로 유인하지 못해 현재의 인력난이 계속될 ... ...
- 보잉 유인우주선 '스타라이너' 귀환 성공… 3번 도전만에 시험비행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2.05.26
- 중단 시스템, ISS와 도킹, 해치 개폐, 내부 인터페이스 평가, 도킹 해제, 하강과 대기 진입, 정밀 착륙 등 계획한 임무 목표를 모두 달성했다고 밝혔다. 마네킹 ‘로지’를 태워 우주비행사가 경험하게 될 환경 데이터를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보잉과 NASA는 비행 상황과 우주선 점검을 마친 뒤 별다른 ... ...
- 베트남전에도,우크라 전쟁에도 참전했다…전쟁에 투입되는 해양동물들동아사이언스 l2022.05.09
- 때문이다. 돌고래는 음파를 쏘아 물체에 맞고 반사되는 반향을 듣고 멀리 있는 물체를 정밀하게 감지해낸다. 축구장 두 개 너비에 가까운 200m 밖에서도 테니스공 크기 물체의 존재를 알아낼 정도다. 탁한 물에서도 시력이 좋고 청각도 뛰어나 바닷속 표적을 감지하고 추적할 수 있다. 인간이 겪는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