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시스템
기구
관례
체계
조직망
규칙
스페셜
"
제도
"(으)로 총 1,02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2회 한·이스라엘한림원 공동심포지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이스라엘과학인문한림원과 오는 22일부터 23일까지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 ... 졸업생들이 의무복무 전 1년의 기간에 참여하는 수십 개의 프로그램에 최적으로 매칭하는
제도
를 어떻게 설계하고 운영했는지를 소개한다 ... ...
[박정연의 닥터스] “해외 원정수술 받아야 했던 성소수자에 의료 인프라 제공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5.02
전문가들과 대화를 나누며 성소수자 의료의 종합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제도
나 법과 관련한 분야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도 성소수자 의료 미충족 실태가 주제다. 국내 성소수자 환자들의 파악되지 않은 수술 현황을 확인하는 것이 목표다. 성확정수술을 ... ...
[과학게시판] 과학 똑! 똑! 찾아가는 과학서비스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28
제도
는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공적인 큰 과학기술인을 예우·지원하는
제도
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총 81명이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됐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한국도로공사와 오픈소스 관련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ETRI는 무료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소스코드 등을 ... ...
[과학게시판] 원안위-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양자회의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학술사상과 의술을 계승하기 위해 5년마다 30인의 중의사를 선정하고 포상하는
제도
다. 중국 4기 국의대사는 2022년 발표됐으며 선정된 중의사는 국가급 문화자산으로서 인정받게 된다. 한의학연은 앞서 2014년부터 2017년 제1,2,3기 국의대사를 펴낸 바 있다 ... ...
[오늘과학] 마감 데드라인이 주는 압박감, 근거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25
연구자들의 부담감을 덜기 위해 일부 기금 프로그램 보고서에 데드라인을 설정하지 않는
제도
를 도입해 과학계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데드라인이 부정적인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로아니스 파블리디스 미국 휴스턴대 교수 연구팀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혁신에 기여하고자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자에게 포상하는 과학의날 기념 장관 표창
제도
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 장관 표창을 수상한 박 교수는 디자인학 박사로서 이공계학부생들에게 디자인사고 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창의적 발상법과 공학에 필요한 디자인 기초소양을 지도하고 있다. 박 ... ...
[박정연의 닥터스] “시각장애 산모가 3D프린팅 피규어로 태아 얼굴 느껴"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이를 위해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스타트업에 대한 융자지원, 청년인턴
제도
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확보하기 위해 영업사원처럼 뛰고 있다. 최근에는 구와 협약을 맺고 ’안양천 건강대회‘란 행사를 추진했다. 시민들이 참여하면서 개방형 실험실에 참여한 기업들의 사업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5월 31일까지 국가연구개발
제도
개선의견 수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8월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
제도
개선(안)˼ 에 반영된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개발
제도
를 발전시킬 수 있는 의견 제출자를 과기정통부장관 표창 대상자로 추천할 예정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종호 장관이 11일 경기과학고등학교를 방문해 미래 과학기술 인재가 될 과학영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자락...초라한 K방역
2023.04.04
근거 없는 날 선 독설도 볼썽사납다. 전문가들이 백신‧치료
제도
개발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수용하기 어렵다. 우리가 초라한 최종 성적표에 절망해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특히 정부의 방역 정책에 충실하고 성실하게 참여했던 국민의 입장에서는 더욱 그렇다. 오히려 개인적으로 감당하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락가락' 기름값...정부가 걷는 유류세 개편해야
2023.03.21
주유소에서 소비자에게 기름을 판매하는 시점에 부과하면 된다. 그러면 정부가 탄력세
제도
를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다. 절대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이미 주유소는 소비자로부터 국세청을 대신해서 부가가치세를 수납해주고 있다. 이제는 유류세의 세액도 소비자에게 분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