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이클
순환
자전거
사이클
진동수
주기
순환기
스페셜
"
주파수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구글·인텔도 뛰어든 양자컴퓨터 세계로 '퀀텀점프'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검출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전자레인지부터 5세대(5G) 이동통신
주파수
등 실생활 곳곳에 쓰이는 마이크로파는 최근 양자컴퓨터 등 양자정보기술에도 활용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이 소자화된다면 양자컴퓨터 측정방식을 바꿔 양자컴퓨터 개발 분야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관측한 블루 제트
동아사이언스
l
2021.01.23
발생했다. 엘브스는 전자기 펄스로 인해 빠르게 방출되는 빛과 매우 낮은
주파수
의 섭동을 뜻한다. 전자기 펄스는 짧은 시간에 퍼져나가는 강력한 파장인 펄스 형태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뜻한다. 블루 제트가 시작될 때 희미한 적색 방출 펄스가 나타나고, 이어서 펄스에서 방출된 빛과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구현하기 위해서도 저궤도 위성 통신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현재 테라헤르츠 대역의
주파수
를 활용한 지상 통신 및 위성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테라헤르츠용 안테나, 전송 프로토콜, 그리고 이를 운용하는 기지국 시스템이 추가로 개발돼야 한다. 여기에 미래 6G 통신을 보다 ... ...
어린아이 차량 방치 사고 막아줄 차내 레이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나타난
주파수
패턴을 머신러닝으로 분석해 고유의 패턴을 찾고 도플러 레이더에 새로운
주파수
데이터를 입력하면 사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실제 차 내부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고 여러 시나리오에 따라 알고리즘이 사람을 얼마나 정확하게 찾는지 시험한 결과 ... ...
[국가우주위]국산 첫 통신위성 개발 시동건다...'천리안 3호' 내년부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카(Ka)대역
주파수
를 이어받아 임무수행에 활용한다. 카 대역은 약 27~40 기가헤르츠(GHz)
주파수
로 5세대(5G)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광대역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관제국 등 지상시스템은 국내 독자로 개발하고 안테나 등 일부 부품은 해외와 공동개발한다. 개발사업은 올해 6월 ... ...
[한 토막 과학상식]잡음 적은 레이저 '브릴루앙 레이저'란 무엇인가
2020.12.24
만들고 산란하는 현상이다. 산란된 빛이 발생한 음파 에너지만큼
주파수
가 줄어들면서
주파수
흔들림과 잡음이 줄어든다. 브릴루앙 레이저는 브릴루앙 산란이 동일한 빛을 계속 만드는 '유도 방출'이 가능한 점을 이용한다. 레이저는 유도 방출된 같은 빛을 중첩해 강력한 빛을 내는 원리다. ... ...
암흑물질 탐지시간 4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이중방 공진기를 만들어 액시온 검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 공진기 보다 4~5배 높은
주파수
의 전자기파를 탐색할 수 있었다. 기존에는 3개월 정도 걸리던 탐색 시간이 4분의 1인 3주로 줄었다. 윤성우 IBS 연구위원은 “공진기의 디자인을 바꾸는 것만으로 실험 효율을 크게 높였다는데 의의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
2020.11.25
아니다. 과기정통부 안에서도 과학기술 정책은 훨씬 더 뜨거운 휴대폰, 종편 관리,
주파수
판매 정책에 파묻혀버렸다. 정부 조직에 관한 한 과학기술은 정보통신의 곁방살이 신세가 돼버렸다. 오랜 세월 정부의 따뜻한 보호막에 안주하던 과학기술에게는 힘겹고 혼란스러운 고난의 시절이었다. ... ...
레이더 핵심 부품 집적회로로 만들어 크기와 무게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전파와 나가는 전파를 쉽게 구분한다. 특히 4~8GHz의
주파수
대역인 C-대역과 8~12GHz의
주파수
대역인 X-대역을 모두 주고받는다. 만약 고출력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의 출력을 스위치가 견디지 못하면 오작동을 일으킨다. 연구팀이 개발한 집적회로는 두 대역에 대해 각각 40W, 30W의 출력을 견딜 수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변형은 자유롭지만 망가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전해질을 담은 이온 전도체가
주파수
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성질이 달라지는 점을 이용해 촉각과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수용체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용체는 전하가 물체에서 빠져나가는 시간인 ‘전하 완화 시간’을 온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