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스페셜
"
천문
"(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너머의 희미한 빛에서 별 탄생과 죽음, 물 존재를 포착하다
2022.07.13
팔 끝에 쥐고 있는 하나의 모래알 크기에 불과한 작은 영역”이라고 했다. 양성철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35억 년 전 우주에서 처음으로 은하들이 생성되기 시작한 초창기 천체들의 구조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게 돼 우주 탐색의 가능성을 넓힌 게 이번 관측의 가장 중요한 의미”라고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한국 연구진이 만드는 스피어x 우주망원경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현재 사용해야하는 필터나 카메라 관측기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단계”라며 “
천문
연은 기기개발, 자료처리 소프트웨어, 과학연구 전반에 걸쳐 약 30명의 연구원이 스피어X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동아일보 인터랙티브웹으로 보기 https://original.donga.com/2022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평범한 사람들이 만든 제임스웹, 미국 공학교과서를 바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07.12
그린하우스 선임 연구원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결과는 어쩌면 우주과학과
천문
학 교과서의 내용을 뒤바꿀 지도 모른다"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쌓인 첨단 기술 내용이 공학 교과서에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린하우스 선임연구원은 2016년 망원경의 과학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가장 정밀한 SMACS 0723 은하 구조 보여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자랑한다. SMACS 0723 은하단의 가장 정밀한 구조를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양성철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2일 전화 통화에서 “SMACS 0723은 이전의 허블 망원경으로도 관찰했던 은하단”이라며 “SMACS 0723 은하단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것은 이전의 허블 망원경과 비교해 얼마나 ... ...
[제임스웹 첫 영상공개]제임스웹은 어떤 우주망원경인가
2022.07.12
박해에 앞장섰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개명 요구까지 이어진 것이다. 지난해 미국의
천문
학자 루시앤 왈코비츠를 비롯한 4명의 과학자가 웹 전 국장의 성 소수자 탄압을 이유로 개명 청원을 내고 여기에 1250명의 과학자가 서명하면서 NASA도 개명 방안을 검토했지만 결국 이름을 그대로 쓰기로 하면서 ... ...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제임스웹의 후속 우주망원경들
과학동아
l
2022.07.12
9로 2027년 5월로 연기됐다. NASA는 또 이 차세대 광역적외선 망원경 'WFRIST'에 선구적 여성
천문
학자의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어머니'로 불리는 낸시 그레이스 로먼이 그 주인공이다. 이 우주망원겨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약 1억 개의 별을 관측하고, 약 2500개의 외계 행성을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천체 사진 첫 공개...바이든 대통령 맛보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이후 첫 관측과 분광 관측이 진행됐다. NASA는 제임스웹이 보내오는 데이터를 받아
천문
학자와 대중을 위한 이미지로 처리하는 과정을 거쳤고, 이번에 그 결과를 공개하는 것이다. 12일 오전 10시(현지시간)에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결과가 정식 공개된다. 남반구 별자리인 용골자리에 있는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첫 풀 컬러 사진, 바이든 대통령이 공개하기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이후 첫 관측과 분광 관측이 진행됐다. NASA는 제임스웹이 보내오는 데이터를 받아
천문
학자와 대중을 위한 이미지로 처리하는 과정을 거쳤고, 이번에 그 결과를 공개하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NASA와 함께 한 백악관 행사에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첫 풀 컬러 이미지를 ... ...
14일 오전 3시 38분 올해 가장 큰 보름달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질 예정이다. 슈퍼문이라는 용어는 1979년 미국 점성술가 리차드 놀이 처음 제안했으나
천문
학적 공식명칭은 근지점 삭망이다. 달과 지구의 물리적인 거리가 조금 더 가까워지긴 하지만 달이 크게 보이는 데에는 대기 상태나 주관적인 부분도 작용해 육안으로는 특별한 차이를 못 느낄 수 있다. ... ...
누리호 네번째 사출 큐브위성 통신두절…"40일 만에 교신한 사례 있어 계속 시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보며 지속해서 위성과의 통신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박상영 연세대
천문
우주학과 교수팀에서 큐브위성 ‘미먼(MIMAN)’ 개발을 총괄했다. 큐브위성은 수십 ㎏에서 작게는 수 ㎏ 크기의 위성이다. 미먼은 가로세로 10cm에 높이가 30cm인 위성으로 한반도 주변 미세먼지를 관찰하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