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스페셜
"
해부학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생기는 이유다. 약 70여년 전 미국 예일대 의대
해부학
교실의 제임스 해밀턴은 미국
해부학
회지에 남성 호르몬 자극이 통상적인 대머리의 선행 요인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 사춘기 이전에 거세당한 남자 아이는 남성형 탈모가 드물다는 것이다. 하지만 탈모가 있다고 남성성이 더 강한 것은 ... ...
[주말 고고학산책] 2000년전 뼈로 삼국시대 얼굴 되살린다
2019.11.16
먼저 복원하기로 하고, 연구실로 머리뼈를 보냈습니다.” -김이석(가톨릭대 의대
해부학
교실 부교수) “받은 머리뼈를 여러 번 컴퓨터단층촬영(CT)하고 얻은 2차원 촬영 영상을 쌓아 3차원 머리뼈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머리뼈 모델에 피부 두께를 나타내는 막대인 ‘페그’를 설치했습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의대교수였던 베살리우스가 《인체해부에 대하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최초의 인체
해부학
서적으로 평가받을 만큼 중요한 서적이다. 봄이 오면 어느 순간 곳곳에서 온갖 꽃들이 피기 시작한다는 말이 여기에도 적용되는 모양이다. 《천구회전에 관하여》의 ‘회전’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종양은 뇌 속에 뿌리 내려 성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8
프랭크 윙클러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신경종양학부 교수와 토마스 쿠너 기능신경
해부학
부 교수 연구팀은 신경교종 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웠을 때와 쥐에게 이식했을 때, 성인 인간에게서 직접 채취했을 때 모두에서 시냅스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미셸 몬제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학부 교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통과한다고 했으나 이븐 알 나피스는 격벽에 구멍이 없고 단단하다고 기술했다. 이는
해부학
적으로 정확한 내용이다. 폐순환을 다시 언급한 사람은 250여 년 뒤인 16세기 유럽의 세르베투스였다. 온전한 혈액순환론이 나오려면 17세기 영국의 하비까지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억할만한 이슬람의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발생하는 질환이다. 조씨 외에도 단국대 의대 연구소 박사후연구원과 단국대 의대
해부학
과 교수, 병리학과 교수 등이 연구에 참여한 것으로 돼 있다. 연구팀은 이 논문을 통해 산화질소 합성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이 신생아의 허혈성 뇌산소뇌병증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혈관 내벽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시대의 헤로필로스와 그의 제자 에라시스트라토스가 신경계와 순환계, 소화계 등의
해부학
적 지식을 넓혀 놓았다. 갈레노스는 이 모든 것을 모아 하나의 종합적인 체계로 발전시켰다. 갈레노스는 수백 권의 저술을 남기기도 했는데 갈레노스의 의학체계는 거의 1500년 동안 정통의학으로서의 권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동정할 처지가 아니다. 맨발로 다니는 사람들은 신을 신는 사람들에 비해 평발 등
해부학
적 문제도 훨씬 적고 나이 들어 관절염 등 퇴행성 질환에 걸릴 위험성도 낮다고 한다. 대부분 도시에서 사는 현대인들이 맨발로 다니기는 어렵겠지만 맨발에 최대한 가까운 두꺼워진 굳은살을 대신해 ... ...
발기부전 치료제 '타다라필' 심장 잘 뛰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용량인 타다라필 20㎎을 49일간 투여했다. 양의 심장은 인간 심장의 크기와 비슷하고
해부학
적으로도 유사하다. 타다라필을 복용하지 않은 양 42마리 중 34마리는 49일 내로 심부전 관련 증상을 보이며 죽었다. 반면 타다라필을 복용한 27마리는 모두 49일까지 살아남았다. 연구팀은 PDE5 효소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은 뇌세포를 되살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있다. 실험 결과 약 6시간 동안 일부 신경세포(뉴런)가 괴사를 멈추고 다시 작동했다.
해부학
적인 형태를 살아 있을 때처럼 유지하고 일부 혈관세포가 살아났으며, 신경세포 간 시냅스에서 신호를 주고 받기도 했다. 하지만 '당연히' 살아 있는 돼지처럼 인지, 지각 등은 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