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4. 프로젝트 랩
과학동아
l
199709
프로젝트 랩은 요리책을 따라가듯 이미 정석화된 실험과정을 밟아가는 것이 아니다.
교수
도 조교도 선배들도 해답을 갖고 있지 않은 문제를 향해 새롭게 도전해야 한다. 전취적으로 사고하고 몸으로 부딪쳐야 하는 자신의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1주일에 3일 밤을 꼬박 세우며 실험장비와 ... ...
개는 사람과 10만년지기 친구
과학동아
l
199708
개의 조상은 늑대다. 늑대의 일부가 사람 손에 길들여지면서 개로 분화된 것이다. 빌라
교수
는 개와 늑대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비교함으로써 개가 어느 시점에 늑대로부터 완전히 분화했는지 추적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어머니로부터만 자식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개와 늑대의 가계도를 ... ...
2. 벌 날개짓 모방한 선박추진장치
과학동아
l
199708
메커니즘으로 양력을 발생시키고 있음을 증명했다. 그리고 이 메커니즘을 처음 발견한
교수
의 이름을 따서 ‘와이즈 포 메커니즘’이라고 이름지었다.유체역학에서 보면 물체를 뜨게 하는 힘, 즉 양력은 날개 주위의 순환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비행기처럼 날개가 정지상태로부터 ... ...
염소, 3주간 인공자궁에서 생존
과학동아
l
199708
적용된다면, 산모는 더이상 출산의 고통을 겪지 않고 아기를 얻을 수 있다. 쿠와바라
교수
는 “지금의 성과는 10여년의 연구 끝에 겨우 3주를 생존시킨 것에 불과하다”며 “사람의 태아를 기를 수 있는 인공자궁이 만들어지려면 적어도 10년을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염소는 수정에서 ... ...
1. 전복껍질에서 탄생한 철갑탱크
과학동아
l
199708
구조를 살피고, 이를 인공계에 접목시키고자 한다”는 미국 애리조나 대학 폴 캘버트
교수
의 설명은 생체모방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신섬유 거미줄사실 자연을 차용해 사물의 설계도를 그리는것은 전혀 새로운 일이 아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 네오나르도 다 빈치가 새의 ... ...
전국연합 모색하는 고교과학서클
과학동아
l
199708
영원히 잊지 못할 추억이 됐다.두번째 모임은 2월 말 서울대에서 있었다. 서울대
교수
들이 마련한 대중과학강좌를 이들이 놓칠리 없었다. 그리고 3월 성남 서현고에서 개최된 천체관측에는 10여개 학교 서클이 참석했다. 이날 학생들은 USC 모임처럼 좀더 성장한 헤일-밥혜성을 봤다.매달 회지를 ... ...
우연한 기회가 만든 과학인생
과학동아
l
199708
나가 설계도면을 그려주는 일을 했다.1960년 아이오아주립대 조
교수
로 들어가 1968년 정
교수
로 승진했을 무렵, 물리학자 반 알렌(대기권 밖에 있는 '반 알렌대' 의 발견자)의 연락을 받았다. "탐사용 인공위성을 개발했는데 중량 초과로 궤도진입이 불가능하니 최적경량을 설계해줄 수 없겠는가" 하는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08
기대하고 있다.단순함에서 배운다일본 도쿄대학의 로봇공학자인 아사오 시모야마
교수
의 관심은 산업용 파이프 등의 안쪽에 들어가 유연하면서도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마이크로머신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나 4년 전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연구에 착수한 그는 이내 방향을 돌리고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07
별개로 1960년 후반 강력이론을 기술하기 위한 끈이론이 시카고대학의 남부
교수
에 의해 제창됐다. 그러나 끈이론은 초대칭성이 도입되면서(사실 초대칭성은 끈이론에서 제일 먼저 도입되었다) 10차원 초끈이론으로 발전했다. 또한 끈이론이 중력을 설명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끈이론은 강력이론이 ... ...
질소가 너무 많아진다
과학동아
l
199707
받고 있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스탠포드대학의 생물학
교수
인 피터 비토우섹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질소 가스가 2배나 많아졌다고 한다.대기 중의 질소량은 일정하게 유지돼야 한다. 만약 대기 중에 질소 가스가 많아지면 토양 속의 영양물질에 영향을 미치며, ... ...
이전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