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 이해 지름길, 침팬지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08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인간의 유
전
정보를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다른 생물의 게놈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연구 ... 확보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획득한 자주적인 생물 정보 생산능력은 우리나라 생명공학 발
전
의 초석이 될 것이다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208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전
혀 새로운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천6백개 유
전
자에 대한 모든 정보가 수집 완료된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연구에서 유
전
정보를 입력하고 외부에서 다양한 자극을 준 후
전
체 단백질 풀의 변화를 관찰하는 사이버 세포(cyber cell)를 활용한 것이다. 비록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08
209458’별에서 발견된 행성이 유일하다. 하지만 앞으로 관측 기술이 더욱 발
전
한다면 더 많은 행성들이 이 방법으로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먼지가 실마리 되기도 식 현상을 일으키는 행성의 경우 별을 가릴때 별빛이 행성 대기를 통과하면서 스펙트럼을 만든다. 이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행성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07
깊이는 1.1km로 밝혀졌다. 호수 자체는 넘치기 수억년
전
에 이미 형성됐는데, 약 35억년
전
고원의 북쪽면에서 호수면의 고도가 천천히 높아졌다. 결국 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호수 가장자리는 무너지고 폭포처럼 북쪽으로 물이 넘쳤다. 홍수처럼 거대한 물줄기는 수개월 정도, 적어도 1년 이내에 ... ...
PART4
전
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07
반도체칩 기술의 핵심은 실리콘 기판에 얼마나 많은 회로를 새길 수 있느냐다. 이 기술은 2010년 이후에는 집적화의 한계에 다다를
전
망이다. 나노기술은 그 한계를 어떻 ... 주도권을 쥐게 되기 때문이다. 나노
전
자소자의 실용화 시기가 생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전
망도 여기서 비롯된다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
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07
2002 한일월드컵에서 거리로 몰려나온 수많은 인파들은 대형
전
광판을 통해 우리 선수들의 활약을 지켜봤다. 총천연색을 자랑하는 대형
전
광판은 많은 사람들을 감동과 ... 것이다. 잠실 올림픽 스타디움에 처음 설치됐던 총천연색 대형
전
광판은 바로 형광램프를 이용한 대형
전
광판이었다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07
의해 창조된, 웃는 얼굴 속에 한없는 슬픔이 가려진
전
위 예술가 조우커이다.갤러리에
전
시된 그림에 스프레이를 뿌리는 그의 모습에서는 지구 정복이라는 의무감에 시달리는 악당 대신 유쾌한 장난꾸러기의 모습이 보인다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07
많은 분야에 기억의 복음을 파급한다. 어느새 뇌세포처럼 퍼져 얽히고 얽혀 21세기사회
전
체에게 방대한 기억이라는 지향적 의식을 심어 버린 이 공산품은 분해되면 메탈 플래터 몇장을 장식품으로 남긴다. 하드디스크가 담았던 고민의 기억도 추억도 결국은 파티션 장식에나 어울릴 살풍경한 철판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07
산란이 크다. 이 때문에 적외선을 사용해 측정을 시도했다. 하지만 적외선도 문제가 완
전
히 없는 것은 아니다. 사람 몸의 약 60%를 차지하는 물이 적외선을 흡수하면서 피크(peak)가 되는 파장을 여럿 만들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분석에 방해가 되는 이런 파장을 줄이기 위해 샘플의 두께를 50μm 정도로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07
재미 한국 과학자 2명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미국 하버드대 박홍근 교수와 코넬대 박사과정의 박지웅씨는 각각 금속 분자 ... 평가했다.박교수와 박지웅씨는 2년
전
축구공처럼 생긴 탄소 플러렌 분자를 이용한 단
전
자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 ...
이전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