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수학동아 l2010년 10호
- 0일, 본격적으로 세계적인 수학자의 강연이 시작됐어. 대수와 정수, 위상, 해석학, 함수 등 분과별 강연과 수상자들의 강연, 분과토론이 매 시간 20군데의 강의실에서 동시에 진행됐지. 너무 많은 강연이 있다 보니 어떤 강연을 들어야 할지 망설여질 정도였지.가장 먼저 스미르노프 교수님의 강연을 ... ...
- 수학울렁증을 이겨 내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나눗셈 연산을 처음 만나는 친구들은 수학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하죠. 이때 수학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선생님과 부모님이 옆에서 도와 주어야 해요.4학년이 되면 단위를 사용하는 측정 단원에서 단위 변환을 할 때 울렁증 증상을 보이는 친구들이 종종 생겨요. 평소엔 ...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수학동아 l2010년 10호
- 것이 마야 달력이었습니다.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변화를 근거로 기원전 3114년 8월 13일을 시작으로 2012년 12월 21일 지구의 주기가 끝난다고 미래를 예측한 것입니다.지난 2000년, 미국의 과학자 테렌스 메케나는 중국 주역의 점괘를 수리적으로 분석해 함수로 나타내 보았더니 2012년 이후의 그래프가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이 무렵이었다. 연월기의 계획도를 그려 넣고, 연월기와 관련된 사건들을 한지에 적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지를 묶어 책을 만든 뒤, 겉장에 ‘연월기록’이라고 썼다. 연월기록이 두꺼워질수록 지오의 생각도 깊어 갔다. 지오의 나라도 마음 속에서 점점 커져만 갔다.* ‘한국 수학사(김용운·이소라 ... ...
- 하늘이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꼭대기 층인 열권이 사라지고 있단다. 두께도 얇아지고 대기의 밀도도 떨어졌다. 관측을 시작한 1967년 이래 최저 수치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열권이 사라지는 이유도, 열권이 사라질 때 일어날 일도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43년 관측역사 이래 가장 얇아진 열권 열권은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는 ...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가치를 느끼게 해 줘야 한다. 수학 점수를 잘 받으면 상을 받기 때문에 수학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면, 더 나아가 수학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어야 상이 없어진 뒤에도 계속 수학 공부를 한다.이처럼 학생이 스스로 가치를 인식할 수 있을 때 교육 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그래서 권위적이고 ...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해결한 것이다. 평형 상태에 있는 기체에 열을 가하면 기체 분자는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평형 상태가 깨진 것이다. 시간이 지나 원래 온도로 돌아오면 기체 분자는 다시 평형 상태로 돌아온다. 19세기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였던 볼츠만은 이런 비평형 상태에서 평형 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을 ...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끝은 아니다. 별이 수축하면 처음에 별이 생겼을 때처럼 별 내부의 온도가 다시 올라가기 시작한다. 그러면 헬륨핵 주변을 싸고 있는 수소층의 온도가 1000만℃보다 높아져 다시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질량이 아주 가벼운 별은 이 단계를 지나 껍질층의 수소를 다 태우고 나면 바깥 부분이 ...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나노구조 고분자 재료로 연구 분야의 변화를 모색하던 시기였다. 박사과정을 시작하며, 안식년을 맞이한 장정식 지도교수와 함께 다공성 나노재료 분야의 세계적인 대가인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갤런 스터키 교수의 연구실을 방문했다. 그곳에서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의 제조를 연구했다 ...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우연히 발견한 ‘짠맛을 내는 물질’에 대해 함께 연구하자고 제의했다. 이렇게 연구가 시작됐다.우리 몸은 어떻게 맛을 느낄까. 기본 맛은 단맛과 신맛, 쓴맛, 짠맛, 감칠맛 등 5가지로 알려져 있다. 오래전에는 감칠맛을 제외한 4가지 맛이 기본 맛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분자생화학과 생리학, ... ...
이전6976986997007017027037047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