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노력도 헛되게 새행성을 발견하지 못한채 끝내는 단념할 수 밖에 없었다. 그 뒤에도 여러가지 비슷한 설이 나왔다가는 사라지고 사라진 뒤에는 또 나오고 하기를 거듭했다. 그러는 사이에 이야말로 틀림없는 새행성이라고 소동을 벌이게 한 별이 하나 발견되었다. 소행성(小行星·asteroid·화성과 ... ...
- 미리 살아보는 21세기 초 109세까지 살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일련의 화학적 전해질과 용액으로 채워졌고, 그리하여 기관은행들로 하여금 인체의 여러가지 부분들을 집어넣고 심지어는 가장 섬세한 폐를 6개월 동안 보존하게 해주었다. 21세기는 이식수술이 꽃핀 시대이다. 그리고 모든 구획마다에 새로운 기관은행이 문을 열고 있는 것같지만, 수요를 만족시킬 ... ...
- 자동차디자인의 세계 새로운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보다 경제적이며, 내부공간이 넓고, 쾌적한 자동차-현대의 디자인이 추구하는 큰흐름이다. 자동차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우리나라에도 자동차패션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자동차3사에서 새로운 차종을 내놓을 때마다 디자인의 특징이 화제가 되는가 하면, 에어로다이내믹 스타일 같은 전 ... ...
-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비교에서 본 것과 같이 동양의학은 여러가지 장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서양의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동양의학에 관한 의문이나 비판에 대하여 충분히 납득할만한 해명이나 근거를 가졌다고는 볼 수 없다. 물론 이같은 ... ...
- 한글화 시킨 컴퓨터 언어 「늘품」① 컴퓨터가 우리말을 알아듣는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우리말로 된 전산기 부림말(컴퓨터언어)이 개발되었다. 4세대 언어라 불리는 「포스」를 우리말로 풀어쓴 「늘품」이 바로 그것. 전산기의 부림말(computer language)도 외국어 같이 일찍 배워 익히면 그만큼 잘 쓸 수 있고 또한 좋은 무른연모(software)를 꾸밀 수 있다. 그리고 어릴때 부림말을 배우려면 ...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일은 과학의 모든분야중 가장 어렵고 진보가 부진한 부류에 속한다. 조직을 해부해 본다든가 단백질을 분석하는 일 그리고 생명(또는 유전)연구에 단골로 등장하는 과실파리(fruit flies)로 증식하는 일 등은 생명연구의 필수적인 과정이었고 또 가장 많은 연구가 행해지기도 했 ... ...
- 발명가를 끝없이 유혹한다 영구기관은 영원히 불가능?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중력 부력 용수철의 반발력 등을 이용해 무한동력을 얻으려는 시도는 끊이지 않고 있다. 발명가라면 누구나 한번쯤 가져보는 꿈이 있다. 한번 시동을 걸어주기만 하면 외부에서 에너지를 보급해 주지 않아도 영원히 운동을 계속하는 장치를 만드는 것이 그것. 이런 장치 즉 '영구기관(perpetual mobile)' ... ...
- 따비, 괭이에서 달구지, 트랙터까지 농업의 역사를 한눈에과학동아 l1988년 01호
- 농요를 시현, 제작하여 비디오로 방영해서 입체적으로 전달해준다. 이곳에는 여러가지 긁정이의 형태 및 낫과 호미의 분포를 지도와 함께 보여주고 있다. 커다란 한반도지도 위에 지역별로 쓰이는 낫과 호미를 배치시켜 놓고 있어 한눈에 비교해 알아볼 수 있게 했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3층에 ... ...
- PART1 종속이냐 자립이냐 앞으로 10년이 선택의 갈림길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우리는 기상위성과 통신관계의 인공위성 이용에 관한 이야기를 했지만, 우주공간에는 여러가지 목적의 인공위성이 날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가 가보지도 못하는 세계 각처에 묻혀 있는 풍부한 자원을 찾아내기위한 원격탐사위성, 지구의 전리층이나 천체의 X선 등을 관측하기위한 과학위성, ...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과학동아 l1988년 01호
- 그것은 소립자 물리학이라는 학문이었다. 그가 이 분야를 전공하기로 결심한 배경에는 여러가지 사연이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직전인 1945년 여름 일본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을 때 그는 13세였으나 이 폭탄에는 그가 평소 관심을 갖고 있었던 물질이 사용되고 있어 원폭이야기가 나올 ... ...
이전6997007017027037047057067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