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뉴스
"
0
"(으)로 총 7,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브리핑] 전기硏, 펨토초 레이저 광원 기술 이전 外
2014.11.26
반도체분야 학회로 전세계 반도체 관련기업, 연구소 및 대학에서 제출된 논문 중 약 2
00
여 편의 논문만 엄선해 발표한다. 국내에서는 KAIST에 이어 삼성전자가 발표 논문 9편으로 2위에 올랐다. ... ...
광대역에서 빛의 편광 자유자재로 조절
2014.11.25
상관없이 편광을 회전시킬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마이크로파의 편광을
0
.1㎓~4
0
㎓ 대역에서 주파수에 상관없이 45도 회전시켰으며 빛의 성질이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빛의 파장보다 얇은 두께에서도 빛의 편광을 광대역에서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으로, ... ...
[과학 발언대] “시리어스 게임은 시리어스 비즈니스다”
2014.11.18
않겠다”고 해 양국 포럼 참가자들의 갈채를 받았다. ●기능성게임은 ‘한류 3.
0
’을 이끌 첨단 융합기술산업 융합현장에서 가장 절실하게 느끼는 점이 있다. 융합은 누가 시켜서 되는 게 아니라, 하나의 문제를 공유하는 구성원들이 다같이 미쳐있어야 가능하다. 완전한 몰입 상태에서 나온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과학이 겨울을 즐겁게 하리라
2014.11.16
스키장은 슬로프(스키를 타고 내려오는 경사길)의 눈 두께를 적게는 5
0
∼6
0
cm, 많게는 1
00
cm 이상 유지한다. 눈이 다 녹는 데 시간이 걸리고 그때까지 스키를 즐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키장에선 눈이 충분히 두꺼워도 수시로 인공눈을 뿌린다. 본격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기온이 영상으로 바뀌는 2월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라이언 헤이워드 교수팀은 종이접기를 활용한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가로세로
0
.7mm짜리 평면이 마치 색종이가 접히듯 스스로 조립돼 폭
0
.2mm 길이
0
.5mm 로봇으로 변신한다. 하이드로젤 스마트 시트의 모습. 온도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은 이 로봇을 만들기 ... ...
회로 두께 딱 1nm, 나노 반도체 나오나
2014.11.05
일으켜 압축시킴으로써 도체에서 부도체로 변하는 상전이 온도를 기존의 영하 15
0
도에서 더 낮추고, 이보다 낮은 극저온에서도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지는 ‘상분리 상태’를 갖도록 만들었다. 또 연구팀은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해 인듐 원자선의 도체적 성질과 부도체적 성질을 제어할 수 있다는 ... ...
테니스 혁신도 독일 월드컵 우승도 ‘빅데이터’ 덕분
2014.10.28
데이터 분석 기술은 한국 기술진이 개발했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차상균 교수가 2
000
년 제자들과 함께 설립한 벤처기업 ‘TIM(Transact in Memory)’이 개발한 ‘하나(HANA)’ 빅데이터 플랫폼이다. SAP는 2
00
5년 TIM을 인수하면서 이 기술을 확보했다. 제니 루이스 SAP 기술총괄리더는 “하나 플랫폼을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연구결과가 실렸다. 후진국 어린이(생후 한 달에서 12살 사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 1
0
건을 분석한(이번에도 메타분석연구다) 결과 항생제를 먹일 경우 한 달에 평균
0
.
0
4센티미터 키가 더 크는 것으로 나왔다고. 미미한 수치지만 일 년이면
0
.5센티미터다. 참고로 몸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좀 더 커서 한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7
0
기 정도가 개발됐는데, 기계연은 LNG를 활용한 14
0
메가와트(MW)급 FccPP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플랜트는 개성공단에 필요한 전력 모두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박성환 기계연 시스템신뢰성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육상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시간과 공간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
0
’ 주목한 까닭
2014.10.19
“이런 시도가 학생들의 창의성과 협업 능력을 극대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1
0
월 17일자 사이언스 표지 -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격렬하게 폭발하고 있는 태양이 차지했다. 홍염을 내뿜고 있는 태양 표면을 근거리에서 포착했다. 사이언스가 태양을 표지에 실은 이유는 ... ...
이전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