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램프
스탠드
비탈길
경사면
배면
등고자비
자비
d라이브러리
"
등
"(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문구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팸을 걸러주는 필터 알고리즘에 스팸에 자주
등
장하는 기호와 문구를 입력해 두면 스팸을 상당량 거를 수 있습니다. 필터 알고리즘이 스스로 학습해서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팸의 양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이렇게 경험을 토대로 어떤 ... ...
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다른 방향으로 걷는 사람끼리 부딪히게 되는 거예요. 따라서 사람들로 붐빌 때는 앞사람
등
만 보고 걷는 것이 좋아요.새치기와 지름길 찾기는 금물!길은 왜 막히기 시작하는 걸까요? 통계학 연구에 따르면 몇몇 사람이 빨리 가기 위해서 다른 길을 찾거나 새치기 하면서 길이 막히기 시작해요.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잘했을 것 같아요. 줄곧 1
등
을 하고 각종 대회를 휩쓸고요. 의외로 김 교수님은 초
등
학교 때까지는 수학 잘한다는 소리를 한 번도 듣지 못했대요.“수학을 못했던 것은 아니에요. 다만 잘 한다는 소리를 못 들었어요. 그러다 중학생이 됐는데, 학원 수학 선생님이 너무 좋은 거예요. 그분이 하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골목을 여러 차례 방문했습니다. 기나긴 회의도 피할 수 없었습니다. 초
등
학생도, 고
등
학생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년별로 다른 미션을 수행하도록 설계했습니다. 2015년 4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여름방학도 포기한 선생님들이 열정을 다해 만든 ‘대구 매스 투어’의 이야기입니다.대구 매스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는 많은 화학자들이 카테네인뿐만 아니라 트레포일 매듭, 보로미언 링, 솔로몬 매듭
등
구조가 흥미로우나 합성이 어려운 분자의 합성에 도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한편 스토더트 교수는 여기서 좀 더 나아가 전자가 풍부한 방향족 화합물과 전자가 부족한 방향족 화합물 사이의 인력을 이용해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화성에서 생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잘 살기 위한 거주지를 디자인했다”고 말했다. 2
등
을 한 작품은 오각형의 큰 거주시설 세 개가 연결돼 있고 이를 지탱하는 벽이 마치 문어발처럼 뻗어있는 형태의 집이었다. 화성의 토양을 이용해 차폐막을 만들 예정이며, 세 개로 나눠진 거주시설은 각각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가위’ 기술에도 작은유도RNA(sgRNA)라는 R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miRNA와 siRNA의 역할은 ‘작은 RNA 월드’에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이들은 지금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을까.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인류 문명을 ‘재부팅’할 안내서 ‘지식’을 썼다. 불을 피우고 깨끗한 물을 얻는 법
등
당장 생존에 꼭 필요한 지식뿐만 아니라 인류가 쌓은 과학문명을 재건할 방법까지 담았다.그는 “과학을 공부하는 것과 실제 삶 사이에 괴리가 크다고 느껴 이 책을 쓰게 됐다”고 했다. 항공사 엔지니어로 늘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일어났는지 알아내고, 과거 유명했던 초능력자 유리 겔라처럼 숟가락을 구 부리는
등
의 능력을 상상한다. 하지만 유리 겔라도 몇 년 지나지 않아 간단한 트릭을 이용했음이 드러났다. 이 사실을 알아낸 것은 캐나다 마 술사 제임스 랜디였다.랜디는 여러 과학자와 함께 초능력주장 조사위원회를 열고 ... ...
Intro. 사라져가는 생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못친소’ 프로젝트의 투표 결과가 발표됐다고 해서 후보들이 모였어. 과연 누가 1
등
을 차지했을지 궁금하지? 그런데 말야, 사실 여기 모인못친들이 결과 발표에 앞서 각자 할 얘기들이 있다고 해. 먼저 우리 얘기 좀 들어 볼래?▼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사라져가는 생물을 지켜라!Part 1.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